정치 >

尹 최후진술 놓고 정치권 후폭풍 지속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심판 최후변론을 놓고 정치권에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직무복귀 시 임기단축을 각오한 개헌 추진과 함께 비상 계엄의 배경에 거대야당이 있음을 강조한 윤 대통령의 최후변론과 관련, 여당은 '직무 복귀를 전제로 한 개헌'을 부각하며 탄핵 반대 여론전에 나섰다. 반면 야당은 윤 대통령이 스스로 가상현실에 빠져 거짓말을 하고 있는 만큼 반드시 파면 선고가 내려져야 한다며 날선 공격을 이어갔다.

국민의힘은 26일 윤 대통령의 임기간축 개헌 제안을 강조, 탄핵 기각을 넘어 탄핵 소추안 각하 주장까지 내놨다.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이 제시한 개헌에 대해 "헌법재판을 받으면서 본인이 대통령으로서 반드시 해야 할 과업으로 개헌을 통해 정치 시스템을 고치려 했다는 점을 깊이 생각해 최후 변론에 담은 것 같다"며 "대통령으로서 그런 내용을 말한 건 옳은 말씀으로 생각하고 본인이 진정성을 갖고 했다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나경원 의원은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정치 개혁을 완성하겠다는 점에 대해 상당히 공감했다"면서 "계엄 과정 등을 보면 '설사 헌법 위반이라고 해도 대통령 탄핵, 파면에 이를 정도가 아니지 않나'라고 판단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법률가적 양심에 따라 재판한다면 이 사건은 각하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했다.

윤상현 의원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윤 대통령 탄핵 심판은 편법으로 청구된 '요건 미달 심판'이고, 헌재의 위법성이 드러난 '부적법한 심판'"이라면서 "증인과 증거에 대한 충분한 심리 과정을 진행하지 않은 '미진한 심판'"이라고 지적, 각하를 요구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전날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최후진술에 대해 "거짓과 궤변으로 일관했다"고 강력히 비판했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윤 대통령 측 변호인이 전날 탄핵심판 최후변론에서 계엄 당시 국회 출입이 차단된 게 아니라고 주장한 것을 놓고 "사람이 있으면 못 넘으니까 사람이 없는 곳으로 피해서 넘은 것"이라고 말했다.

박찬대 원내대표는 윤 대통령을 겨냥 "마지막까지 거짓말과 궤변으로 일관했다"면서 "헌법과 법률을 지킬 의사가 전혀 없는 게 명백한 자에게 다시 군 통수권을 맡긴다는 것은 상상도 할 수 없다"고 말했다.

국가정보원 출신 박선원 의원은 S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 대통령의 핵심 메시지는 자신의 내란 계엄이 합법이고, 직무에 복귀시켜달라는 것"이라면서 "복귀해 계엄을 다시 해서 국회에 군을 동원해 쳐들어가고, 개헌해서 영구 집권하겠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