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사람이 배달하는 시대 곧 끝난다, 日 배달로봇 상용화 '성큼'

사람이 배달하는 시대 곧 끝난다, 日 배달로봇 상용화 '성큼'
라쿠텐 그룹의 자동 배송 로봇이 경제산업성 관계자에게 규동(소고기 덮밥)을 배달하고 있다. 경산성 제공

【도쿄=김경민 특파원】 일본 경제산업성이 자율배송 로봇의 사회적 도입을 위한 전문가 회의의 제언을 발표했다. 예산 확보와 규제 완화 등의 속도가 빨라지면서 조만간 상용화된 배달 로봇을 현실에서 볼 수 있을 전망이다.

27일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이 제언에는 전동 킥보드와 비슷한 시속 20㎞로 주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물류업계의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미래상을 제시했다.

안전성을 고려해 도로의 좌측 끝으로 이동하며 다른 차량과 속도 차이를 조정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경산성은 향후 실증 실험을 거쳐 관련 제도의 개정을 추진할 계획이다.

경산성은 지난해 7월 전문가 회의인 '고성능 자율배송 로봇의 사회적 실용화 검토 워킹그룹'을 설치하고 논의를 진행해왔다.

이날 회의 후 경산성 내부에서는 라쿠텐 그룹과 교세라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의 자율배송 로봇이 주행하는 모습을 시연했다.

라쿠텐 그룹의 소형 로봇은 사람이 걷는 속도로 이동하며 규동(일본식 소고기 덮밥)을 배달했다. 이 로봇이 배달한 규동을 받은 가토 아키요시 정무관은 "로봇이 따뜻한 규동을 가져다줬다. 전국 곳곳에 이런 로봇이 보급된다면 고령자나 가까운 곳에 쇼핑할 곳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좋은 미래가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일본 정부는 도로교통법 개정을 통해 길이 120㎝ 이하 등의 조건을 충족하는 소형 로봇에 대해 시속 6㎞까지 공공도로 주행을 신고제로 허용하고 있다. 이번 제언에서는 보다 크고 빠른 로봇이 배송할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경산성은 2025년 이후 집중적으로 실증 실험을 진행해 주행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규제 완화 방향을 검토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2024년도 추가경정예산에서 관련 예산을 확보했다.

한편 중국과 미국에서는 자율배송 서비스가 이미 보급되고 있다.
일본에서도 인터넷 쇼핑의 확대로 인해 택배 물량이 증가하며 2023년도에 50억개의 택배가 처리됐다. 이는 2014년 대비 40% 증가한 수치다.

물류업계의 인력난이 심화되면서 2027년까지 24만명의 드라이버가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km@fnnews.com 김경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