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중국 문화 도용했다"..한국 장인과 협업한 펜디 가방, 논란 일자 게시물 '삭제' [명품價 이야기]

"중국 문화 도용했다"..한국 장인과 협업한 펜디 가방, 논란 일자 게시물 '삭제' [명품價 이야기]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가 한국 김은영 매듭장과 협업해 출시한 '바게트 백'/사진=펜디, 중앙일보

[파이낸셜뉴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펜디(FENDI)가 한국 전통 매듭 장인과 협업한 가방을 두고 중국 소비자들이 "중국 문화 도용"이라고 항의해 논란이 되고 있다.

27일 중국 관영 환구시보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는 "펜디가 최근 중국 문화적 뿌리를 한국 것으로 잘못 설명했다는 비난을 받아 분쟁에 휘말렸다"며 "펜디 측은 관련 항의를 잇따라 받아 조사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앞서 펜디는 지난해 11월 서울시무형문화재 제13호 김은영 명예매듭장과 협업한 가방을 공개했다. 펜디는 '핸드 인 핸드(Hand in Hand)' 캠페인을 통해 대표 가방인 '바게트 백'을 한국, 이탈리아, 호주, 스코틀랜드 등 전 세계 장인들과 협업해 출시했는데, 한국에서는 김은영 매듭장인이 참여했다.

펜디는 인스타그램을 통해 이 가방에 대해 "한국에서는 1965년부터 단일 긴 끈을 묶고 고정하여 장식 매듭 형태로 여러 모양을 만드는 전통 공예인 매듭을 전문으로 하는 김은영 장인과 협업했다"고 홍보했다.

해당 게시물은 중국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공유됐고, 이를 본 중국 누리꾼들은 "펜디가 중국 문화를 도용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중국의 한 누리꾼은 "펜디의 협업 백 디자인은 미적으로 만족스럽지만 중국 매듭 기술을 한국의 장인 정신이라고 설명하는 것은 부적절하다"며 "명품 브랜드는 중국 문화를 존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글로벌타임스는 "중국 매듭은 당나라와 송나라의 민속 예술로 시작해 명나라와 청나라에서 인기를 얻은 장식용 수공예품"이라며 "수많은 중국 네티즌들이 펜디에 '중국 문화 도용' 의혹을 제기했으며, 이 문제는 웨이보 트렌드 차트에 올랐고, 관련 해시태그는 웨이보에서 두 번째로 인기 있는 주제가 됐다"고 전했다.

그러나 매듭은 우리 역사에서도 삼국시대 때부터 흔적이 발견됐으며, 동식물에서 이름을 따오는 등 중국·일본과는 다른 형태로 발전해 왔다.


하지만 중국 누리꾼들의 일방적인 주장에 펜디 측은 공식 홈페이지와 인스타그램 등에서 김은영 매듭장과 협업한 게시물을 삭제했다. 다만 삭제 이유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으며, 펜디 측은 해당 논란에 사실 여부를 조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김은영 매듭장은 경상남도 고성 문수암에 구름이 드리울 때 바라본 석양에서 영감을 받아 '핸드 인 핸드' 바게트 백을 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newssu@fnnews.com 김수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