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단봉·캡사이신 사용도 열어둬
기동대 외 별도팀 운영…일선서도 동원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재동 헌법재판소 앞에서 경찰이 경계 근무를 하고 있다. 헌법재판관들은 이날부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평의를 진행한다.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경찰이 물리적 충돌 등을 우려해 경력을 총동원한다. 헌재 침입 등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경찰 비상단계를 격상하고 별도의 대비조를 편성해 유기적으로 대응한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차장)은 4일 서울 서대문구 경찰청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과거 탄핵집회를 거울 삼아 최악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계획을 수립 중"이라고 말했다.
이 차장은 "분신자살이나 물리적 충돌 등 폭력사태 가능성이 있어 헌재 침입을 포함한 모든 상황을 염두에 두고 있다"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당시) 미흡한 점이 있었다. 지금은 차량 탈취 등 모든 상황을 고려해 기동대와 별도로 운영할 수 있는 대비조를 편성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찰청은 서울경찰청이 건의한 '갑호비상' 발령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갑호비상은 경찰의 가장 높은 경비 비상 단계로, 경찰관들은 연가가 중지되고 가용경력이 총동원된다. 지휘관과 참모는 사무실이나 현장에 위치해야 한다.
이 차장은 "인력 동원에 한계가 있다면 비상단계를 올려서라도 총동원할 것"이라며 "을호비상까지 일선서 경찰관도 동원된다"고 설명했다. 캡사이신, 삼단봉 사용 계획에 대해서는 "필요하면 현장 지휘관 판단 하에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헌법재판관 등에 대한 신변보호의 경우 지난주부터 전담경호팀을 증원해 1인당 수명 단위로 운영 중이다.
헌재 주변에 24시간 기동대를 배치하고 자택 등에서는 순찰차를 배치했다.
경찰은 전국적으로 상황이 벌어질 경우 각 지방경찰청도 비슷한 조치를 취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사태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 차장은 "최근 찬반 집회에서도 가용 경력을 총동원해 예방대책하고 있어 지난 1일 집회도 물리적 충돌 없이 끝날 수 있었다"앞으로도 철저히 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unsaid@fnnews.com 강명연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