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기고] 숲을 지키는 사람들, '산주대회'에 모이다

박정희 ㈔한국임업인총연합회·㈔한국산림경영인협회 회장

[기고] 숲을 지키는 사람들, '산주대회'에 모이다
박정희 ㈔한국임업인총연합회·㈔한국산림경영인협회 회장
3월 5일 오늘, 서울 장충체육관에서는 세계 산림의 날(3월 21일)을 기념해 '대한민국 산주대회'가 열린다. 이 행사는 220만 산주들이 산림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산주 임업인의 권익 향상을 위한 중요한 발걸음을 내딛는 자리다. 행사에서는 산림의 가치와 중요성을 되새기며, 산주들의 미래를 밝힐 수 있는 다양한 논의가 펼쳐질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국토 면적의 3분의 2는 산림으로 이뤄져 있으며, 그 중 3분의 2는 사유림이 다. 우리는 오스트리아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사유림 국가로, 산림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

우리나라의 산림정책은 세계적인 산림녹화 성공 사례로 꼽힌다. 196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민초 조림'을 통해 국토 대부분을 녹화했으며, 한국전쟁 이후 황폐해진 국토와 산림은 정부의 묘목 지원과 국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회복했다. 이 성과는 현재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있다. 이제, 대한민국의 220만 산주들은 산림 선진국으로 나아가는 중요한 전환점에 서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인구 대비 가장 많은 국민이 산을 소유하고 있다. 핀란드, 스웨덴, 일본, 독일 등이 주로 목재 수확을 중심으로 산림을 운영하는 반면, 우리는 목재 수확뿐만 아니라 임산물 생산, 산림휴양시설 운영까지 포함하는 종합적인 산림경영을 추구하고 있다.

임업은 단순한 1차 산업을 넘어서, 기후 위기 시대에 대한민국의 미래를 지키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임업인들은 단순한 산주를 넘어서 기후 리더로서, 탄소흡수원 산업의 핵심 주체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이 기후 선진국으로 나가는 길에, 산주들의 역할과 힘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다.

우리 임업인들은 숲의 가치를 더욱 높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루기 위해 힘쓰고 있다. 최근 주목받는 '아그로포레스트리(혼농임업)'는 농업과 임업을 조화롭게 결합한 혁신적인 기술로, 생산성 향상은 물론 기후 변화 대응, 생물다양성 증진, 토양 및 수자원 보호 등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임산물은 단순한 산림 부산물이 아니라, 경제적, 환경적, 건강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자원으로 버섯, 산나물, 약용식물, 견과류 등 다양한 임산물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임업인의 소득을 증대시키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다.

특히, 기후미식은 지역에서 나는 식자재를 최소한의 에너지로, 낭비없이 소비하는 음식 문화를 의미하는데 숲에서 생산된 임산물은 탄소를 배출하지 않으며 오히려 흡수하는 특성을 보인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한 ‘숲 미식’은 임업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친환경적이며 건강한 음식 문화를 조성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우리의 임산물은 사계절이 있는 다년생 작물로 중요한 먹거리 자원이자 지역에서 생산된 임산물을 이용하면 수입, 유통, 가공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도 줄일 수 있다.
조미료를 첨가하지 않은 단순한 조리법을 통해 원재료 본연의 맛과 향을 살린다면 이를 통해 건강한 음식문화를 조성하고, 숲을 중심으로 한 기후미식 관광벨트를 만들어 나간다면 산촌 지역경제 활성화도 한 몫할 것이다.

우리는 기후 위기라는 전 지구적 문제에 맞서 숲을 지키고 가꾸는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지속 가능한 산림 경영을 통해 미래 세대에게 건강한 숲을 물려주기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할 때이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