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영등포구 홈플러스 영등포점 모습. 2025.3.4/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홈플러스의 기습적인 기업회생절차 신청과 개시로 크레딧 시장에서 비우량등급 회사채에 대한 경계감이 커지고 있다. 아울러 신용평가사의 등급 모니터링에 대한 경고음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비우량채 경계감에 양극화 심화 전망
6일 채권평가업계에 따르면 이번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개시로 기업 비우량채에 대한 경계감은 더욱 심화할 전망이다. 최성종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홈플러스는 잠재적인 자금 이슈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기업회생절차 개시를 신청했다"면서 "기업간 양극화 현상은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앞서 롯데카드가 보유한 팩토링 채권에서 거액의 연체가 발생한 것도 크레딧 시장에 악재로 여겨진다. 팩토링 대출은 일반 기업이 보유한 매출 채권을 담보로 자금을 대출해주는 금융상품이다. 이화진 현대차증권 연구원은 "최근 카드사 대출 연체 등에 이어 홈플러스가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갔다"면서 "크레딧에 대한 수요는 기업별로 차별화가 심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신용평가사들은 지난달 27일이후 홈플러스의 단기물 신용등급을 기존 A3에서 A3-로 하향 조정한데 이어 디폴트(D)로 강등했다.
이미 홈플러스의 단기물은 채권시장에서 투기등급직전의 신용도를 금리에 반영하고 있었다. 홈플러스의 신용등급이 강등되기 직전인 지난 2월 21일 회사가 발행한 CP (6개월물) 금리는 연 6.50%로 A30 민평금리 연 5.80% 보다 높게 발행됐다. 이는 A3-(회사채 BBB- 수준)기준 연 6.28%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이미 채권시장에서는 A3- 신용도를 선반영하고 있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신평사 경고음 유명무실...투자 피해 키워
신용평가사들은 홈플러스의 기습 기업회생절차 개시 신청에 손을 쓸 수 없었다는 반응이다. 홈플러스의 선제적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예상치 못했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신평사의 뒷북 평가 논란을 피해가기는 어려워 보인다. 결과적으로 뒤늦은 경고로 잠재적인 투자자 피해를 키웠기 때문이다. 특히, 홈플러스는 기업회생절차 개시 신청 일주일 전까지도 CP를 발행했다. 홈플러스가 1월~2월 발행한 CP 및 전단채는 330억원에 달한다.
국내 신용평가사들의 '몸 사리기' 평가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자칫 선제적 경고음은 채권 시장을 위축, 시장의 자금 조달력을 약화시킬 수 있지만 이를 일부 기업들이 악용한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신평사들은 태영건설이 워크아웃 신청을 하기 직전까지도 신용등급 A를 유지하기도 했다.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나이스신용평가 등은 태영건설이 워크아웃을 신청한 당일(2023년 12월 28일)에도 A-등급을 유지했다. 워크아웃 소식이 알려진 뒤에야 다급하게 10단계 아래인 CCC등급으로 낮췄다.
대유위니아그룹 계열사에 대한 대응도 마찬가지였다. 대유플러스의 신용등급은 지난해 9월말 하루만에 BB0등급에서 D등급으로 추락한 바 있다.
2022년 3월 발행한 신수인수권부사채(BW) 조기상환청구(행사비율 95%·285억원)에 대응하지 못해서다.
조기상환청구액이 한 달 전에 확정됐으나 신평사들은 어떠한 경고음도 울리지 않았다. 한국기업평가는 대유플러스의 직전 등급(BB0)을 그대로 유지했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김경아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