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도 실사격훈련 전면 중단키로
대북정찰 등 필수 운용 항공기는 제외
[파이낸셜뉴스]
한미 통합화력 실사격 훈련이 실시된 6일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의 한 민가에 공군 전투기 KF-16이 잘못 투하한 공대지 폭탄이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뉴스1
지난 6일 경기도 평택 민가에 포탄을 비정상 투하하며, 15명의 부상자를 낸 공군이 모든 항공기 비행을 당분간 제한하기로 했다.
공군은 전날 경기도 평택 민가에 포탄을 비정상으로 투하, 15명의 부상자를 낸 오폭 사고 발생 이후 해당 기종인 KF-16 전투기를 포함한 모든 항공기의 비행을 당분간 제한하기로 했다고 7일 밝혔다.
현재 언제까지 항공기 비행을 제한할지 정해진게 없다는게 공군 측 입장이다. 오는 10일 한미 연합연습 자유의 방패(FS·프리덤실드) 시작 전까지는 비행 제한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북 감시·정찰과 비상대기 등 필수로 운용해야 하는 일부 항공기는 제외했다. 공군 관계자는 "FS 연습 기간 항공기가 어떻게 운용될 지에 대해서는 아직 정해진 바 없다"고 말했다.
공군은 이와 함께 모든 조종사를 대상으로 사고 사례 교육과 비행 전 단계 심층 교육 등에도 착수했다. 6일 오후 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이 입장문을 통해 재발 방지 대책을 언급한 것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이 총장은 입장문에서 "다시는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며 "이번 사고를 계기로 전 조종사를 포함해 항공 무장을 다루는 모든 요원에 대한 일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확인 절차를 보완하겠다"고 강조했다.
우리 군이 모든 실사격 훈련을 중단한 가운데, 주한미군 또한 이에 동참하기로 했다. 주한미군은 "미국과 한국군은 모든 실사격 훈련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다만 FS 연습은 계획대로 시행한다.
전날 오전 10시 4분께 경기 평택 승진과학화훈련장 일대에서 실시된 한미 연합합동 통합화력 실사격훈련에 참가한 KF-16 전투기 2대가 MK-82 각각 4발, 총 8발을 민가에 비정상 투하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총 15명이 중·경상을 입었고, 교회 건물 1개와 주택 2채가 일부 파손됐다. 부상자 중에는 군인도 5명이 포함돼 있다.
공군은 전날 "조종사 진술 등을 통해 실사격 훈련 준비과정에서 조종사가 좌표를 잘못 입력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6일 오후 경기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 공군 전투기 폭탄 오발 사고 현장이 통제되고 있다. 사진=뉴시스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