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미국 일리노이주 나일스의 한 식료품 점에 지난달 22일(현지시간) 1인당 달걀 구입이 3팩까지만 가능하다는 안내 문구가 붙어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 소식통들을 인용해 미 법무부가 달걀 품귀 현상과 가격 급등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보도했다. AP 뉴시스
미국 법무부가 미 달걀 값 급등에 관한 조사에 착수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법무부를 움직여 필수 식료품인 달걀 공급 감소와 가격 상승에 대한 조사에 나서도록 만든 것으로 보인다.
자신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물가상승)을 부르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달걀 가격 상승세가 자신의 정책에 부메랑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을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7일(현지시간) 소식통들을 인용해 법무부가 대규모 달걀 공급업체의 공급량 조작 등을 포함해 달걀 값 급등에 관한 조사를 개시했다고 보도했다.
다만 소식통들은 법무부가 달걀 값 급등에 칼을 빼 들었지만 아직 조사 초기여서 정식 기소로 이어지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미 달걀 값은 조류독감 여파로 지난 1년 사이 2배 폭등했고, 종종 식료품 매장에서 구경조차 하기 어려울 때도 있을 정도로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식료품 업체들은 지난 수개월 식료품 가격 인플레이션의 주된 동력 가운데 하나로 달걀을 꼽고 있다.
트럼프는 지난 1월 20일 미 47대 대통령에 취임하면서 인플레이션을 낮추겠다고 공언했지만 치솟는 달걀 값으로 인해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달걀 값 급등은 미 사상 최악의 조류독감이 직접 배경이라는 데는 이론이 없다. 미 농무부에 따르면 2022년 이후 조류독감으로 살처분하거나 폐사한 닭, 칠면조 개체수가 1억5000만마리가 넘는다.
미 달걀협회(AEB)의 에릴리 메츠 최고경영자(CEO)는 조류독감으로 어린 닭들이 폐사하는 터라 닭 개체 수를 늘리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조류독감이 유행하고 나면 6개월에서 최대 1년이 지나야 닭 개체 수가 회복된다고 그는 설명했다.
조류독감으로 산란계 개체수가 줄고 있지만 수요는 꾸준한 터라 달걀 공급망이 상당한 압박을 받고 있고, 그 여파로 달걀은 품귀 현상을 빚고 도매 가격은 치솟고 있다.
노동부에 따르면 달걀 소매 가격이 뛰고 있지만 소매 업체들의 비용 부담이 심각한 수준이다. 12개 들이 달걀 소매가격은 약 5달러이지만 도매가격은 8달러 수준에 이른다.
이런 와중에 미 최대 달걀 생산업체인 칼메인 푸즈는 달걀 값 상승에 힘입어 순익이 대폭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주가는 지난 1년 동안 50% 폭등했다.
한편 달갈 가격 고공행진을 위한 담합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로펌 로리슨 포어스터의 리사 펠란 파트너 변호사는 경쟁당국은 종종 이례적인 공급망 차질로 가격이 뛰는 것으로 보일 경우 조사에 착수하곤 한다고 말했다.
미 달걀 업체들은 가격 담합으로 철퇴를 맞은 적도 있다.
미 시카고 연방법원은 지난 2023년 칼메인, 로즈에이커 팜스, 유나이티드 에그 프로듀서스, US 에그 마케터스 등이 2004~2008년 산란계들을 조기에 도살해 달걀 공급을 인위적으로 제한했다고 판결했다. 이들은 그 결과 크래프트, 켈로그 등 4대 식품업체들에 5300만달러를 배상해야 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