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용산 "담담하게 헌재 선고 기다릴것"... 관저 복귀한 尹, 직접 메시지는 자제 [尹대통령 석방 파장]

용산 "담담하게 헌재 선고 기다릴것"... 관저 복귀한 尹, 직접 메시지는 자제 [尹대통령 석방 파장]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8일 오후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 입구에서 지지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례적인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관저에 복귀했지만 당분간 절제모드 속에 메시지도 제한적으로 내보낼 것으로 보인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변론기일은 종료돼 선고만 남긴 상황에서 굳이 헌재를 자극하지 않고 절제된 모습으로 상황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9일 대통령실은 정진석 대통령비서실장 주재로 수석비서관회의를 갖고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했지만 별도의 메시지는 내지 않았다. 관저에 복귀했지만 여전히 직무가 정지된 윤 대통령이 공식적인 대외활동을 할 수는 없어 체포영장 집행 전과 마찬가지로 관저 정치를 할 것으로 관측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겸허하고 담담하게 헌재 선고를 기다릴 것"이라면서 "차분하게 정해진 절차, 법적인 절차에 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관저에서 대통령실 주요 참모진을 비롯, 예방을 위해 관저를 찾는 국민의힘 의원들을 만날 것으로 보인다. 구치소 면회보다 적은 빈도의 접촉으로 메시지가 다발적으로 나가는 것은 막을 것으로 전망된다. 향후 윤 대통령이 메시지를 낸다고 해도 대통령이 직접 강한 키워드가 담긴 메시지를 내기보다 윤 대통령 측 변호인단을 통해 메시지가 나갈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탄핵반대 집회에 지난 3·1절에는 12만명 이상이, 전날에는 6만명 이상이 결집하고 윤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주요 여론조사 결과 50%에 육박하는 조사 결과들이 잇따라 나와 지지층 결집을 위해 직접 메시지를 낼 가능성은 상존한다는 지적이다.

수감 기간에도 변호인단을 통해 메시지를 냈던 윤 대통령은 조만간 다른 형식의 메시지를 내놓을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설명이다. 실제 윤 대통령은 전날 석방 뒤 입장문에서 "대통령의 헌법상 권한에 따라 공직자로서 맡은 바 임무를 수행하다가 고초를 겪고 계신 분들도 있다"며 수감된 공직자들을 걱정한 데 이어 "그동안 응원을 보내주신 많은 국민들, 그리고 우리 미래세대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