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석방되며 탄핵심판 새 국면
민주당 "심우정 총장 사퇴하라"
국힘은 "또 이재명표 국정파괴"
"각하" "파면" 국론분열도 절정
윤석열 대통령이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과 검찰의 즉시항고 포기로 구금 52일 만에 관저로 복귀했다. 여야는 각각 "당연한 결정, 환영한다" "검찰이 내란수괴의 졸개 자처"라며 정면 충돌하면서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를 놓고도 '기각 또는 각하' '파면선고'를 거듭 압박했다. 윤 대통령이 지난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후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 도착, 차에서 내려 주먹을 쥐어 보이며 지지자들의 환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법원과 검찰의 구속 취소 결정 및 이행으로 전격 석방되면서 이를 고리로 여야가 헌법재판소의 선고를 앞두고 각각 '탄핵 각하'와 '즉각 파면'을 주장하는 등 막판 여론전이 뜨겁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주말 사이 대규모 탄핵 찬반 집회가 도심에서 열리는 등 장외 여론전까지 지속되면서 헌재의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임박한 상황에서 강대강 대치 국면이 갈수록 첨예해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법원의 윤 대통령 구속 취소 판결에 따라 석방지휘 결정을 내린 심우정 검찰총장의 즉각적인 사퇴를 촉구하면서 거부 시 탄핵도 불사하겠다고 강력 경고했다. 반면 여당은 '이재명표 국정파괴' '분풀이 보복'으로 규정하고 검찰에 힘을 실었다.
이런 가운데 대통령실은 정치적 오해가 없도록 윤 대통령의 외부활동을 비롯해 발신 메시지는 최대한 절제된 수준으로 할 방침이다.
9일 정치권과 경찰 등에 따르면 많은 인파가 몰린 전날 탄핵 찬반 집회의 경우 경찰의 비공식 추산 기준에 따르면 탄핵 반대집회에는 총 6만명 이상, 찬성집회에는 총 2만6300명 이상 참석한 것으로 추산됐다.
찬반 집회와 별개로 여당은 윤 대통령 탄핵 기각을 넘어 탄핵 각하로 윤 대통령이 조속히 업무에 복귀해 국정 및 민생 안정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야당은 윤 대통령 석방을 결정한 심우정 검찰총장에 대한 사퇴 및 탄핵 경고와 함께 헌재를 향해선 파면선고를 내릴 것을 압박했다.
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비공개 비상의원총회 직후 규탄대회에서 "심우정 검찰총장에 대해 즉시 고발 조치를 취하고 사퇴를 거부한다면 탄핵을 포함해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재명 대표는 '야5당 대표 비상시국 공동 대응을 위한 원탁회의'에서 윤 대통령 석방을 두고 '검찰과 여권의 의도적 기획'이라는 주장을 폈다.
이 대표는 "저는 약간의 의도가 작동했다고 생각한다"며 "그리고 검찰이 이번 내란 사태의 주요 공범 중 하나라는 사실을 은연중에 보여준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에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재명 세력의 탄핵중독은 형법상 특수협박죄로 다뤄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면서 "법 원칙을 무시하고 자신들의 마음에 들지 않으면 무조건 탄핵부터 시켜야 한다는 심산"이라고 비판했다.
선고가 임박한 헌재를 겨냥한 여야 간 압박 강도도 세졌다.
민주당은 윤 대통령 구속 취소에 따른 석방이 헌재의 탄핵심판과는 별개인 만큼 조속한 헌재의 탄핵 선고가 이뤄져야 한다는 입장인 반면 국민의힘은 수사 전반에 걸친 법적 하자가 확인된 만큼 불법적으로 오염된 진술과 자료들로 인해 헌재 탄핵심판 변론기일이 재개되거나 탄핵은 각하돼야 한다고 맞받았다.
hjkim01@fnnews.com 김학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