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마켓워치 >

신영증권, MBK에 법적대응 검토[10년만에 뒤집힌 유통판도]

홈플러스 채권 4000억규모 판매
개인 등에 불완전판매 책임 불똥
다른 증권사와 형사고소 나설 듯
MBK, 등급강등 예측 못했단 입장

신영증권이 홈플러스의 최대주주인 MBK를 상대로 형사고소를 검토 중이다. 홈플러스의 유동화증권(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주관사로 약 4000억원을 판매한 곳이 신영증권이다. 하지만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으로 유동화증권 부실화 우려가 일면서 불완전판매 등 후폭풍이 거셀 것으로 보고 법적 대응 카드를 테이블에 올려놨다.

1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신영증권은 MBK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을 예상하고도 증권사를 통한 단기물 판매로 기관 및 개인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끼치는 등 사기 혐의가 짙다고 보고 형사고발을 고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조만간 법무법인을 선정, 다른 증권사와 공동대응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있다. 신영증권 고위 관계자는 "MBK 반응을 보고 (형사고발) 대응을 할지 지켜보고 있다"고 전했다.

실제 지난 주말 신영증권 사장과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이 접촉한 것으로 확인됐다. 김 부회장은 MBK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 신청이 불가피한 이유를 설명했고, 신영증권 측은 사기발행에 무게를 둬 설전을 벌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MBK는 홈플러스의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는 입장이지만 업계에서는 이미 부채비율이 과도한 데다 일부 상거래 채권 상환까지 지연되는 상황에서 MBK가 신용등급 평가 하락을 짐작도 못했다는 해명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투자자의 손실이 예상되는 홈플러스 기업어음(CP) 사태는 동양증권 사태처럼 사기성이 될 수도 있다"며 "법정관리 일주일 전에 일반투자자에게 CP를 파는 것에 의구심이 있다. 피해자들의 형사고소 등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불량채권 판매에 직격탄을 맞는 곳은 판매처인 증권사이다. 향후 불완전판매 책임, 증권사 최고경영자(CEO) 중징계 여부, 투자자 배상 등이 불거질 수 있어서다. 하나증권과 현대차증권도 유동화증권 등 단기물 판매처로서 다른 증권사들과 공동대응을 저울질하는 분위기다.
현재 신영증권을 비롯한 다수의 증권사들은 불완전판매 혐의를 벗어나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다. 일부에서는 사기 혐의가 확정되면 MBK의 대표 사재를 털어서라도 투자자 피해를 구제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신영증권, 하나증권을 통해 단기물을 사들인 투자자들은 홈플러스의 채무불이행에 따라 사실상 손실을 눈앞에 두게 됐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김현정 강구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