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함대사령부 호위함(전북함·광주함), 고속정, 해상기동헬기(UH-60) 등
서해 가거도 서북방 해상에서 대량살상무기(WMD) 해양확산차단 훈련
[파이낸셜뉴스]
11일 서해 가거도 서북방 해상에서 자유의 방패 연습의 일환으로 진행된 대량살상무기(WMD) 해양확산차단 훈련에서 해군특수전전단 특임대원들이 해상기동헬기 UH-60에서 WMD 적재 의심 선박 역할을 맡은 광주함에 패스트로프로 하강하고 있다. 사진=해군 제공
해군은 제3함대사령부가 한미연합연습 '자유의 방패'(프리덤실드·FS)연습의 일환으로 서해 가거도 서북방 해상에서 대량살상무기(WMD) 해양 확산 차단 훈련에 임했다고 11일 밝혔다.
훈련은 첩보를 통해 WMD 확산물질 적재 의심 선박을 전북함이 레이더로 식별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됐다.
2500t급 호위함 전북함과 광주함, 230t급 고속정 등 해군 함정 3척과 해상기동헬기 UH-60 1대, 특수임무대 장병들이 참가했으며, 해경의 3천t급 함정 1척도 투입돼 합동작전 능력을 강화했다.
전북함은 의심 선박 역할을 맡은 광주함을 대상으로 식별을 위한 통신 검색을 시도했으며, 의심 선박이 이에 불응하자 육상기지에서 대기 중이던 특임대가 해상기동헬기 UH-60에 탑승해 현장으로 이동했다. 이와 동시에 고속정은 경고사격과 차단 기동을 통해 의심 선박의 기동을 제한하고 정선 조치를 했다.
이후 현장에 도착한 특임대는 UH-60에서 패스트로프(Fast Rope)로 하강해 의심 선박에 승선했으며, 검문검색을 통해 선원들의 신원을 확인하고 수색을 통해 WMD 확산물질을 발견했다. 특임대는 선원들의 신병을 확보하고 해경함이 선박을 나포하는 것으로 훈련은 종료됐다.
훈련에 참가한 조해성(중령) 전북함장은 “이번 훈련을 통해 대량살상무기의 해양확산차단을 위한 해군·해경의 실전성과 합동성을 제고할 수 있었다”며 “해군은 실전적인 훈련을 바탕으로 확고한 대비태세를 확립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11일 서해 가거도 서북방 해상에서 자유의 방패(Freedom Shield) 연습의 일환으로 진행된 대량살상무기(WMD) 해양확산차단 훈련에서 해군특수전전단 특임대원들이 해상기동헬기 UH-60에서 WMD 적재 의심 선박 역할을 맡은 광주함(FFG-I, 2500톤급)에 패스트로프(FAST ROPE)로 하강하고 있다. 사진=해군 제공
11일 서해 가거도 서북방 해상에서 자유의 방패(Freedom Shield) 연습의 일환으로 진행된 대량살상무기(WMD) 해양확산차단 훈련에서 해군특수전전단 특임대원들이 WMD 적재 의심 선박 역할을 맡은 광주함(FFG-I, 2500톤급)에서 검문검색을 하고 있다. 사진=해군 제공
11일 서해 가거도 서북방 해상에서 자유의 방패 연습의 일환으로 진행된 대량살상무기(WMD) 해양확산차단 훈련에서 해군특수전전단 특임대원들이 해상기동헬기 UH-60에서 WMD 적재 의심 선박 역할을 맡은 광주함에 패스트로프로 하강하고 있다. 사진=해군 제공
11일 서해 가거도 서북방 해상에서 자유의 방패 연습의 일환으로 진행된 대량살상무기 해양확산차단 훈련에서 해군특수전전단 특임대원들이 대량살상무기 적재 의심 선박 검문검색을 위해 육상기지에서 해상기동헬기 UH-60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해군 제공
11일 서해 가거도 서북방 해상에서 자유의 방패 연습의 일환으로 진행된 대량살상무기 해양확산차단 훈련에서 해군특수전전단 특임대원들이 대량살상무기 적재 의심 선박 검문검색을 위해 육상기지에서 해상기동헬기 UH-60에 탑승하고 있다. 사진=해군 제공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