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尹탄핵' 놓고 대학가 시국선언 잇따라

경희대, 탄핵 촉구 시국선언
카이스트에선 탄핵 반대 시국선언

'尹탄핵' 놓고 대학가 시국선언 잇따라
11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 서울캠퍼스 정문에서 경희대학교 학생들이 시국선언을 하고 있다. 사진=김동규 기자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놓고 대학가에서 찬반 시국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경희대학교 학생들'은 11일 오전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 서울캠퍼스 정문에서 '내란옹호 규탄! 윤석열 대통령 파면!' 시국선언을 통해 "옛 사자성어 중 결자해지라는 말이 있다. 무언가 일이 벌어졌다면 그 일을 벌인 사람이 책임져야 한다는 뜻"이라며 "형법상 쿠데타를 시도한 경우 내란죄에 해당해 최소 무기징역으로 처벌되고 대통령의 불소추특권에 예외로 규정될 만큼 매우 심각한 범죄행위"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어 "일각에서 보수를 자처하는 이들은 계엄령이 아닌 이른바 계몽령이라는 말을 하며 부정선거론이나 중국인 침투설과 같은 말로 이는 정당했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그러나 군을 동원해 국회를 침탈하고 헌법기관인 선거관리위원회를 습격했으며 국회의원들에 대한 체포 및 구금 시도를 했다는 사실은 지우거나 가릴 수 없다"고 밝혔다.

이날 시국선언에는 개별 학생의 발언도 이어졌다. 이가현 경희대 학생소수자인권위원회 위원장은 "탄핵 반대 세력은 '왜 여기에 노동자가 끼냐'와 '왜 여기에 패미니스타가 있냐', '중국인 유학생은 빠져라' 등 계속해서 분열을 조장하지만, 이런 사고방식이 오히려 한국 사회의 위기를 심화시킨다"며 "청년, 여성, 노동자, 장애인, 성소수자, 이민자로서 우리의 정체성은 분리될 수 없다. 서로 다른 위치에 있지만 이같은 억압에 맞서 싸워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이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에서는 탄핵 반대 시국선언이 열렸고, 탄핵을 반대하는 대학생 단체인 '자유대학'도 국회에서 '제2차 전국 대학생 기자회견'을 진행했다.

김영건 자유대학 서강대 대표는 "탄핵 정국을 보면서 야당의 불법적 요소, 상식적이지 못한 행태를 접했다"며 "줄 탄핵과, 예산삭감, 입법 독주 등 정당 책임을 다하지 않고 이제는 심우정 검찰총장 탄핵까지 논의하고 있다. 이는 진정 헌법 수호를 위한 탄핵이라기보단 정권 찬탈을 위한 공작을 의심케 한다"고 주장했다.

이승재 중앙대 재학생도 "법치 국가에서 적법 절차의 원칙이 지켜지지 않는 위법의 상황을 봤고, 탄핵 역시 졸속으로 답을 정해 놓고 선고하려고 했다"며 "적법 절차를 지킴으로써 사회적 혼란을 막고 헌정 질서를 유린하는 공수처는 당장 해체하고, 헌법재판소는 태스크포스(TF)의 실체와 대본을 밝히길 바란다"고 말했다.

kyu0705@fnnews.com 김동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