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상 21층 규모, 정부대전청사 유휴대지에 2028년 상반기 준공
- 직원 1600여명 방위산업 컨트롤타워 이전… 국방과학도시 도약
11일 대전 서구 둔산동 정부대전청사 서북쪽 녹지에서 열린 방위사업청 기공식에서 내외빈들이 시삽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대전시가 유치에 공을 들인 방위사업청 대전청사가 마침내 첫 삽을 떴다.
대전시는 이장우 대전시장이 11일 대전 서구 둔산동 정부대전청사 서북쪽 녹지에서 방위사업청 기공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이 시장과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을 비롯, 국회의원과 국방관련 대학 총장, 국방산업단체, 방산기업, 시민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방위사업청 대전 신청사는 총사업비 2424억 원을 투입해 지하 2층, 지상 21층, 연면적 5만9738㎡ 규모로 건립되며, 오는 2028년 준공 목표다.
올해 기준 예산 18조 원 규모를 집행하는 방위사업청의 대전 이전은 K-방산 수도로서 대전의 위상을 한층 높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지난 2022년 정부 국정과제로 확정된 이후, 이장우 대전시장을 중심으로 ‘국방혁신도시대전 범시민추진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대전시는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방위사업청 이전을 조기에 성사시켰다.
이에 따라, 2023년 6월 지휘부와 주요 정책 부서 238명이 대전 서구 월평동 옛 마사회 건물로 1차 이전을 마쳤다. 이번 신축 청사가 완공되면 과천에 남아 있는 직원을 포함해 1600여 명의 공무원이 모두 대전으로 이전 근무하게 된다. 대전시는 방위사업청이 안정적으로 뿌리내릴 수 있도록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설 계획이다.
대전시는 국방 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선정하고, 첨단국방과학도시로의 도약을 목표로 방산 생태계 조성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먼저, 방산혁신클러스터사업을 통해 대전을 드론특화형 도시로 육성하고 있다. 국비 등 490억 원을 투입해 드론 분야 혁신 기술 연구개발 및 기술사업화와 창업 등에 지원한다. 민선 8기 들어서는 K-방산 생태계 활성화 사업을 통해 시비 20억 원을 들여 강소기업의 기술 개발 및 글로벌 시장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특히 방위사업청과 협력해 국방 반도체 국산화를 목표로 국방반도체센터를 설립하고 지난해 9월부터 운영에 들어갔다. 이는 대전이 첨단 방산기술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중요한 초석이 될 전망이다.
대전 방위산업의 새로운 중심축이 될 총 159만(48만 평)의 안산첨단국방산업단지 조성도 본격 추진된다. 산업단지 조성을 위한 그린벨트(GB) 해제 등 행정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지역 국방 드론·로봇산업 육성을 위한 로봇드론지원센터도 내년까지 조성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대전시는 지역 방산 벤처기업들의 금융지원을 위해 지난해 12월 대전투자금융을 발족했으며, 2030년까지 자본금을 5000억 원으로 확충해 지역 방산기업 성장의 기반을 말련할 계획이다.
석종건 방위사업청장은 기념사에서 "방위사업청의 대전 이전이 K-방산이 한 단계 더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과학도시 대전의 성장과 발전에도 큰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축사에서 "대전시민의 염원인 방위사업청과 한 가족이 되는 뜻깊은 시간이다"면서 "방위사업청이 대전을 발판 삼아 K-방산 육성, 세계 4대 방산강국을 향한 도전을 힘차게 이어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