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부산소방, 보조배터리 폭발 실험… 안전 보관법 제시

[파이낸셜뉴스] 부산소방재난본부가 보조배터리의 화재 위험성을 입증하기 위해 진행한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폭주 실험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이 실험은 배터리가 고온 환경, 물리적 충격, 과충전 등에 노출됐을 때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진행됐다.

실험 결과, 배터리 내부 온도가 섭씨 260도 이상에 도달하면 급격한 화학반응이 발생하면서 616도 이상의 고온과 함께 화염이 분출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300㎏의 강한 압력을 가한 실험에서는 단 2~3초 만에 배터리가 급격히 연소하며 폭발 위험이 커졌다.

과충전 상태에서도 7분이 지나자 가연성 가스가 발생하기 시작했고, 8분 후에는 온도가 464도까지 상승했다.

보조배터리는 외부 충격이나 온도 변화에 취약해 대형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에 부산소방은 배터리 화재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하고자 소방관 방화복에서 해답을 찾았다.

방화복의 주요 소재인 아라미드는 500~600도의 고온에서도 견딜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를 활용해 부산소방재난본부는 보조배터리의 안전한 보관을 위한 '방화팩'을 개발했다.

부산소방, 보조배터리 폭발 실험… 안전 보관법 제시
일반 보조배터리 화재(왼쪽)과 아라미드 방화팩에서 발생한 보조배터리 화재 모습. 부산소방재난본부 제공

방화팩 실험에서는 배터리의 열폭주로 인해 가연성 가스가 방출됐지만, 외부로 화염이 분출되는 현상은 차단됐다. 이는 실제 화재로 이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음을 의미하며, 배터리 화재 예방에 효과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조일 부산소방재난본부장은 "이번 실증실험을 바탕으로 항공기 내 안전장비 보강과 관련 규정 개선을 제안할 계획"이라며 "항공기 탑승객들도 보조배터리 보관 방법을 숙지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425_sama@fnnews.com 최승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