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전체 에너지 소비 증가율이 최근 크게 둔화한 것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와 전기·가스요금 인상 여파로 풀이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3년도 에너지총조사 결과를 토대로 2022년 한국 전체 에너지 소비는 2억3000만toe(석유환산톤)로, 2019년 2억2700만toe 대비 1.3%, 연평균 0.5% 증가했다고 12일 밝혔다. 조사를 시작한 1980년부터 2022년까지의 연평균 증가율 3.9%와 비교하면 크게 낮아진 수치다.
산업부는 에너지법에 따라 에너지경제연구원·한국에너지공단과 함께 1981년부터 3년마다 국내 전체 에너지 소비량을 집계해 발표하고 있다. 이번 조사는 2022년 국내 에너지 사용 실태를 분석한 결과다.
2020년 발발한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와 2022년 시작된 글로벌 에너지 위기에 따른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에너지 소비 증가율 둔화의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3년 전과 비교해 수송과 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량이 각각 연평균 0.6%, 0.4% 줄었다.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 부문에서 연평균 0.8% 늘고, 상업·공공 부문도 한파·폭염 등 이상기후 여파로 연평균 2.1% 증가했으나 전체 증가율은 둔화했다.
이 같은 4개 부문의 증감 차이로 전체 에너지 소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변했다. 3년 전과 비교해 산업(60.4%→61.0%)과 상업·공공(9.1%→9.5%) 부문 비중은 늘고, 수송(21.4%→20.7%)과 가정(9.1%→8.8%) 부문 비중은 줄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