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권성동 "지방 추가 주택 구입시 다주택자 중과세 폐지"

"시대 변화에 맞는 과감한 정책 변화 절실"
"두 번째 보유 주택 수도권이면 기존 과세 방식 유지"

권성동 "지방 추가 주택 구입시 다주택자 중과세 폐지"
(서울=뉴스1) 이광호 기자 =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1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5.3.18/뉴스1 /사진=뉴스1화상

[파이낸셜뉴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18일 "지방에 추가 주택을 구입할 경우 다주택자 중과세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원내대책회의를 열고 "인구 축소와 수도권 인구집중, 지방소멸 등 시대 변화에 맞는 과감한 정책 변화가 절실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종합부동산세율 인상, 양도세·취득세 중과, 공시가 인상 등 다주택자를 향한 문재인 정권의 무차별적 조세 폭격은 부동산 탈레반이라 불릴 만큼 맹목적이었다"며 "그 결과는 중과세를 피하기 위해 똘똘한 한 채, 서울 고가 아파트 쏠림만 만들어 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권 원내대표는 "부동산 집값 급등과 지방의 극심한 부동산 침체로 상징되는 부동산 양극화를 낳았다"고 비판했다.

권 원내대표는 "부동산 건설 경기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 경제 특성상 부동산 침체는 지방에 대한 사망선고"라며 "부동산 정책도 시대의 변화에 발 맞춰 패러다임의 대전환이 필요하며 특히 부동산 세제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권 원내대표는 "민간 임대사업자로서 역할을 하는 다주택자의 시장기능을 수용하고 부동산 자금이 지방에 유입될 수 있도록 통로를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구체적인 대책으로 '지방에 추가 주택 구입시 다주택자 중과세 폐지'를 들었다. 첫 번째 이후 구매하는 주택이 지방에 있을 경우 주택 채수에 고려하지 않는 방식이다.

다만, 세제 개편이 수도권 주택가격을 상승시키는 역효과를 방지하기 위해 두 번째 보유 주택이 수도권일 경우 기존 과세 방식을 유지하기로 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를 통해 현재 똘똘한 한 채에 몰리는 수요를 지방으로 돌리고 수도권 지방 양극화를 완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민의힘은 당정·여야 협의 및 사회적 공론화 등을 거쳐 더욱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방안을 도출하겠다는 방침이다. 권 원내대표는 "서울 집값 안정과 비수도권의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야당은 밑도 끝도 없는 다주택자 마녀사냥을 포기하고 실용 정치에 협조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haeram@fnnews.com 이해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