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1년간 445명 새 생명 품은 구미시 신생아집중치료센터

221명 환아 입원, 응급분만 103건 등
칠곡, 문경 등 경북권 신생아 치료 거점 자리매김

1년간 445명 새 생명 품은 구미시 신생아집중치료센터
'구미+ 신생아집중치료센터'. 구미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구미=김장욱 기자】 "1년간 품은 445명의 새 생명!"
지난해 3월 1일부터 운영 중인 차의과학대 부속 구미차병원 구미+ 신생아집중치료센터(이하 센터)가 개소 1주년을 맞았다.

구미시에 따르면 지난 1년간(2024.3.1~2025.2.28.) 총 221명의 환아가 입원하고, 응급분만 103건을 포함해 445건의 분만을 시행하며 지역 내 고위험 신생아 치료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했다고 18일 밝혔다.

특히 칠곡, 김천, 문경 등 인근 지역 환아가 전체의 약 45%를 차지하며 경북권 신생아 치료 거점으로 자리 잡았다.

센터 운영 이후 고위험 신생아 치료가 지역 내에서 가능해지면서 산모들의 원거리 이동 부담이 줄었고, 이는 경제적·심리적 안정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또 경북 내 필수 의료 강화를 위해 지난 1월부터 집중 치료 병상을 기존 6개에서 8개로 확대하고, 간호사도 7명에서 10명으로 증원하는 등 치료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김장호 시장은 "경북 유일의 신생아집중치료센터로서 책임감을 갖고 생명의 소중함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지역 내 모든 신생아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성과는 의료기관뿐만 아니라 경북도와 시의 민·관 협력을 통해 가능했다.

지난 10일 경북도 저출생극복본부는 센터를 방문해 의료진 및 운영진과 간담회를 열고,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을 약속했다.

엄태현 경북도 저출생극복본부장은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해 아이를 건강하게 키울 수 있는 환경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면서 "센터가 그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저출생 문제가 심화되는 가운데 임신·출산 의료 환경 개선은 지역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다.

센터는 경북 유일의 신생아 집중치료센터로, 첨단 의료장비와 전문 의료진(소아청소년과 전문의 2명, 산부인과 전문의 1명)을 갖추고 365일 응급 분만과 신생아 치료를 담당하고 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