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지난 18일 경기도 포천시에서 열린 언론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뉴스1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제5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에서 농촌경제 활성화를 위한 일자리 창출 방안, 생활인구 확대, 공공 생활 서비스 사각지대 최소화 등 3대 전략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미국의 농업시장 개방 확대 압박 우려에 대해서는 공식 제안은 없었지만, 다각도로 모니터링하며 대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송 장관은 지난 18일 경기 포천에서 농식품부 기자단 정례간담회를 열고 "제5차 농어업인 삶의 질 향상 기본계획(2025~2029년)을 수립해 다음 주 발표할 예정"이라며 "그동안 삶의 질 향상 정책에서 경제적 측면이 후순위로 밀렸으나, 일자리와 경제적 기반이 마련돼야 삶의 질도 향상될 수 있다"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인구소멸 지역을 대상으로 규제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농산업 거점 조성을 위한 '농산업 혁신벨트'를 조성하고 왕진버스, 이동장터 등 생활 서비스 지원을 확대해 농촌의 정주여건을 개선할 방침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전국 1404개 읍·면 가운데 726곳(51.7%)이 소멸 위험 또는 고위험 지역으로 분류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식품부는 정주인구 증가를 목표로 공간계획을 세우고 2029년까지 청년 보금자리주택을 늘려갈 방침이다.
송 장관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농축산물 개방 압력에 대한 우려에 대해 "현재까지 미국 정부로부터 공식적인 건의는 없었다"며 "다각도로 모니터링하며 대비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spring@fnnews.com 이보미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