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광명시, 청년·신혼부부 중심 '공공매입 임대주택' 126가구 공급

철산주공8·9단지 신혼부부, 광명제1R구역·광명제4R구역 청년·대학생 위주 공급
박승원 시장 "다양한 주거 지원 정책 마련해 시민 주거 복지 확대"

광명시, 청년·신혼부부 중심 '공공매입 임대주택' 126가구 공급
【파이낸셜뉴스 광명=장충식 기자】 경기도 광명시는 주택 가격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과 신혼부부를 위해 공공매입 임대주택 126가구를 공급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공급 결정은 20·30대 청년 인구 유출, 신혼부부 감소 등 젊은 세대 인구 감소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광명시의 경우 최근 조사인 통계청 2023년 신혼부부통계에 따르면 신혼부부는 2023년 5196쌍으로, 2019년 7853쌍 대비 약 33.8%의 감소율을 나타냈으며, 이는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높은 감소율이다.

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부터 만 34세 이하인 광명시 청년 인구는 2019년 6만 5098명에서 2024년 5만3653명으로 감소해 감소율이 약 17.6%에 달해 역시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높다.

이를 위해 시는 재건축·재개발 조합이 용적률 완화를 조건으로 제공한 주택을 표준건축비 기준의 낮은 가격에 매입해, 이를 청년과 신혼부부 대상으로 중점 공급하기로 결정했다.

이번 공급을 위해 시는 150억원을 광명도시공사에 출자했으며, 공사는 해당 출자금으로 주택을 공공매입해 사업을 진행한다.

시는 청년층과 신혼부부의 자립을 돕기 위한 공공주택 정책인 행복주택으로 주택을 공급한다.

행복주택은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대상으로 80%를 공급하고, 나머지 20%를 주거급여수급자와 고령자에게 공급하는 정책이다.

지역별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는 경우 10%p 범위에서 공급 비율을 조정할 수 있어, 시는 대학생, 청년, 신혼부부, 한부모가족 86%, 주거급여수급자와 고령자 14%로 공급 비율을 정했다.

행복주택의 주택 임대보증금과 월 임대료는 주변시세의 60~80% 선에서 책정돼 상대적으로 자본이 부족한 청년과 신혼부부들의 경제적 부담을 덜 것으로 기대한다.

구체적인 공급 계획은 △철산주공8·9단지(철산자이더헤리티지) 전용면적 59.96㎡, 92가구 △광명제1R구역(광명자이더샵포레나) 전용면적 39.98㎡, 27가구 △광명제4R구역(광명센트럴아이파크) 전용면적 39.94㎡, 7가구 등 총 126가구이다.

철산주공8·9단지는 매입 완료했으며, 나머지는 오는 6월 매입할 계획이다.

126가구 중 87가구는 신혼부부·한부모가족(69%), 21가구는 대학생·청년(17%)에게, 9가구는 고령자(7%), 9가구는 주거급여 수급자(7%)에게 공급된다.

시에 거주하고 2세 미만의 자녀가 있다면 최우선 공급되며, 경쟁이 발생하는 경우 추첨으로 당첨자를 결정한다.

박승원 시장은 "이번 공공매입 임대주택 공급으로 젊은 세대의 주거 부담을 경감하고 보다 안정적인 생활 기반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거 지원 정책을 마련해 시민 주거 복지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자세한 사항은 광명시 주택과 또는 광명도시공사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jjang@fnnews.com 장충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