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업권·여신금융협회,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예방 총력대응
ⓒ News1 DB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카드업권과 여신금융협회가 카드배송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예방을 위한 대국민 홍보 캠페인을 추진한다고 20일 밝혔다.
최근 카드배송을 사칭해 접근하는 보이스피싱 수법이 증가하자 금감원에서는 소비자경보를 기존 주의에서 경고로 상향조정했으나, 사기범들이 정식 카드사 명칭을 사용하며 접근하는 보이스피싱 특성 상 피해자가 사기임을 인지하기 어려운 만큼 고액 피해사례로 이어지는 경우도 다반사다.
이에 카드업권은 본인이 신청한 적 없는 카드발급·배송 연락을 받은 경우 대응요령을 다음과 같이 안내했다.
먼저 카드배송원은 카드사 고객센터 연락처를 알려주지 않는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카드배송 사칭범이 알려주는 가짜 고객센터 번호로 전화를 걸면 카드사 직원 사칭범과 연결이 된다. 이후 원격제어앱·악성앱 설치를 통한 휴대폰 장악, 사기범의 협박·기망이 시작된다.
고객센터 연락이 필요할 경우, 현재 사용 중인 카드 플레이트 뒷면의 고객센터 연락처로 전화하면 카드사 종류에 관계 없이 해당 카드사의 고객센터 연락처를 안내해 준다.
카드사 문자메시지의 기업로고(CI)나 안심마크, 카카오 알림톡의 인증표시를 확인도 필요하다. 현재 대부분 카드사에서 공식적으로 발송하는 문자메시지에는 CI나 안심마크가 적용돼 있고(안드로이드폰 기준), 알림톡에는 카카오 인증 표시가 적용(전 기종 공통)돼 있다. CI나 안심마크가 미표시된 문자메시지를 통해 본인이 신청하지 않은 카드발급·배송안내를 받은 경우, 반드시 고객센터로 연락해 정확한 경위를 확인해야 한다.
카드사는 휴대폰 원격제어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점도 숙지해야 한다.
사기범은 원격제어앱을 통해 피해자 휴대폰을 통제하므로, URL 링크를 통한 앱 설치뿐만 아니라 공식 앱스토어를 통한 원격제어앱 설치도 모두 거절해야 하며 원격제어앱이나 악성앱 설치가 의심된다면 가족이나 지인의 휴대폰으로 경찰 또는 금감원에 연락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향후 카드업권과 여신금융협회는 이같은 소비자 대응요령을 집중 홍보하고, 카드 배송시스템 점검 및 내부통제 강화를 추진함과 동시에 경찰청, 금감원 등 관계기관과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다.
여신금융협회 관계자는 "카드배송을 사칭한 보이스피싱은 주로 60대 이상 고령층 여성을 타켓으로 하는 등 취약계층에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며 "늘 의심하고, 꼭 전화 끊고, 또 확인하는 등 각별한 주의를 재차 당부드린다"고 강조했다.
yesji@fnnews.com 김예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