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건설업종 부실확률 5년새 1.9배 상승

건설업종의 부실확률이 전체 업종 중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국내 부실기업 수가 2019년 이후 최대를 기록한 가운데 경제전반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것으로 평가된다.

23일 한국경제인협회의 '2024년 부실기업 진단'에 따르면 외부감사를 받아야 하는 외감기업(금융업 제외) 3만7510곳 중 4466곳(11.9%)이 완전자본잠식 상태에 놓인 것으로 추정됐다. 일명 부실기업들이다. 부실기업은 기업 자산보다 부채가 많아 자본총계(자기자본)가 마이너스 상태 즉, 완전 자본잠식 상태인 기업을 말한다. 이같은 수치는 2019년 이후 최대다. 부실기업은 2019년 2508곳(7.9%), 2020년 3077곳(9.2%), 2021년 4012곳(11.2%), 2022년 3856곳(10.8%), 2023년 4350곳(11.6%)에서 지난해 4466곳(11.9%)로 증가추세에 있다.


업종별 부실확률은 △부동산·임대업이 24.1%로 가장 높았고 △전기·가스·증기·수도사업(15.7%)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14.2%) △예술·스포츠·여가서비스업(14.0%)이 뒤를 이었다.

부실확률이 2019년 대비 상승한 정도 역시 건설업이 가장 컸다. 건설업 부실확률이 2019년 3.3%에서 2024년 6.1%로 5년 새 1.9배 상승한데 이어 전문과학(1.8배), 광업(1.6배), 정보통신업(1.5배) 순으로 상승 속도가 빨랐다.

ehcho@fnnews.com 조은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