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오전 시청 대회의실서 공청회 열어
시민들 행사 전부터 공정성 훼손 지적
춘천시, 오는 25일까지 서면 의견 접수
정광열 도 부지사 "난개발 우려 높다"
춘천시 도시재생 혁신지구 조감도. 일부 시민들은 캠프페이지 부지 중 노른자위 땅을 특정 업체에 제공한다며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춘천=김기섭 기자】춘천시가 국토부 주관 도시재생 혁신지구 공모에 참여하기 위해 시민공청회를 개최했으나 일부 시민들이 공정성 훼손을 제기하며 반발하는 등 갈등이 증폭됐다.
춘천시는 24일 오전 시청 대회의실에서 수백명의 시민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청회를 열고 그동안의 진행과정과 올해 재도전 계획을 설명한 뒤 전문가들을 패널로 초청, 토론회를 진행했다.
하지만 일부 시민들이 공청회 공정성을 거론하며 주최 측인 춘천시의 해명을 요구, 행사 시작이 지연됐다.
이들 중 한 시민은 "시민공청회에 대해 근화동과 소양로 주민들이 공식적으로 전달받지 못했고 당연히 발제자와 토론자를 알지 못했다. 공정하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또다른 시민은 "공청회에 이장과 통장을 왜 모으냐. 밀실행정이다"며 통장·이장 동원설을 제기, 한때 장내가 술렁이기도 했다.
소란 끝에 용옥현 춘천시 도시재생과장은 그동안의 진행과정과 국토부 주관 도시재생 혁신지구 공모 도전 계획, 그리고 캠프페이지에 유치할 VFX(시각특수효과) 사업의 필요성 등을 설명하며 일단락됐다.
이어 곧바로 진행하려던 용역사 설명과 패널 토론은 또다시 중단됐으며 이번 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한 질의가 있었으나 춘천시는 질의 응답은 토론이 끝나고 받겠다며 순서를 뒤로 넘겼다.
하지만 용역사 설명이 끝나고 패널 토론이 시작되기 전 일부 시민들이 공청회의 공정성을 또다시 문제 삼았고 이를 지적하는 시민들의 고성이 오가면서 한때 경찰이 출동하기도 했다.
24일 오전 10시 춘천시청 대회의실에서 캠프페이지 개발사업에 대한 시민 공청회가 열린 가운데 시민들간 갈등이 고조되자 경찰이 출동해 진정시키고 있다. 사진=김기섭 기자
이날 공청회 토론은 장희순 강원대 부동산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았으며 박승훈 단국대 교수, 박기복 강원대 교수, 전창대 더픽트 대표 등이 패널로 나와 춘천시 계획에 대한 의견을 내놨다.
그러나 패널 대부분 정부 공모 사업 도전 중요성과 VFX 사업 유치 필요성, 춘천시 사업에 대한 당위성과 보완점 등만 언급했을 뿐 실제 시민들이 궁금해하는 캠프페이지 개발 방향에 대한 소신발언은 없었다.
다만 전창대 대표는 "청년 창업자, 청년 구직자들을 위한 시설들을 시 외곽이 아닌 캠프페이지와 같은 도심에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 찬성 입장을 밝혔다.
박승훈 단국대 교수는 최근 도시재생사업 대안으로 떠오르는(미국 뉴욕) 센트럴파크와 캠프페이지는 다르다는 취지로 "센트럴파크는 주변이 다 개발됐다"고 지적했으나 캠프페이지 주변 근화동과 소양로, 낙원동 등 구도심 낙후 지역 상황은 파악하지 못한 듯한 발언으로 아쉬움을 남겼다.
특히 춘천시가 캠프페이지 부지에서 가장 노른자위 땅인 춘천역 앞 부지를 개발한다는 계획에 대해 시민들의 반발이 컸지만 춘천시는 이해할만한 설명을 내놓지 못해 실망감이 크다는 지적이다.
춘천시가 24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캠프페이지 개발과 관련, 시민 공청회를 열었으나 일부 시민들 사이에서 고성이 오가며 행사가 지체됐다. 사진=김기섭 기자.
이날 공청회에 참석한 한 시민은 "공원 부지를 지역 특색에 맞는 방향으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데도 특정 기업에 알짜배기 땅을 내주는 것은 특혜다"며 "공청회 개최 일정이나 개발 장소, 유치 시설에 대해 전혀 몰랐고 거리에 내걸린 개발 찬성 플래카드도 주민들의 뜻인지 의구심이 든다. 춘천시의 밀실행정이 문제다"고 주장했다.
임미선 강원도의원은 "이번 사업은 법률상 도시게획법과 미군공여구역법과 연관이 있고 계획 변경은 강원도 권한인데 협의없이 춘천시가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것은 매우 유감이고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춘천시 관계자는 "10여년 전 정부와 지자체가 도시재생 사업을 펼쳤지만 성과가 잘 안나왔다는 평가가 있어서 새로 도입된 것이 도시재생 혁신지구 사업이다"며 "이 사업은 낙후지역 주변 유휴부지를 개발해 주변지역을 활성화시킨다는 목적을 갖고 있고 그래서 캠프페이지를 개발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토교통부도 지난해 공모사업을 춘천시에 추천하면서 캠프페이지 부지를 언급했다"며 "캠프페이지 부지가 성공적으로 개발되면 근화동이나 소양로와 같은 낙후지역에도 큰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춘천시 도시재생과는 캠프페이지 개발사업에 대한 시민들의 의견을 오는 25일까지 서면으로 받을 계획이다.
한편 정광열 강원도 경제부지사는 이날 도청에서 기자 간담회를 통해 "공청회가 사전에 패널을 모르는 상태에서 깜깜이로 진행됐다"며 "춘천시의 계획을 보면 혁신지구를 상업지역으로 바꿔야 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난개발 우려가 높다"고 지적했다.
kees26@fnnews.com 김기섭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