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드라마 잘 만들면 타산업도 잘 된다” K콘텐츠 생산유발 효과 113조

“드라마 잘 만들면 타산업도 잘 된다” K콘텐츠 생산유발 효과 113조
이진국 KDI 산업·시장정책연구부 선임연구위원이 25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콘텐츠 산업의 성장 추이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기업의 성장 요인 등을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게임, 드라마 등 K콘텐츠산업 생산유발 효과가 113조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텐츠산업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규모가 커졌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K콘텐츠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선 저작권 보호 정책이 중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이진국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5일 발표한 'K-콘텐츠의 비상: 산업 특성과 성장 요인 분'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콘텐츠 산업의 생산 유발 계수는 1.572로 분석됐다. 이는 콘텐츠 재화 최종 수요가 1단위 증가할 때 전체 산업에서 1.572배의 생산이 창출된다는 의미다.

이 연구위원은 "콘텐츠 산업 생산유발 계수가 서비스업 가운데는 최상단 수준"이라며 "문화 콘텐츠 산업은 콘텐츠 품질 향상, 디지털 생태계 발전, 기업간 네트워크 확대를 통해 빠르게 성장하며 높은 생산 유발 효과를 창출하는 국가적 성장 동력으로 자리잡았다"고 밝혔다.

2020년 기준 콘텐츠산업의 총 생산 유발 효과는 금액으로 환산하면 113조7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의 K-콘텐츠 성장세를 반영하면 이보다 더 커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콘텐츠산업의 수출액은 2010년 32억3000만달러에서 2021년 124억5000만 달러로 3.9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 콘텐츠 수입액은 17억달러에서 12억달러로 감소해 해외의존도를 줄여가는 경향을 보였다.

이 연구위원은 앞으로 K콘텐츠산업에서 저작권 보호가 핵심이라고 봤다. 신규 지식재산권이 한 건 증가할 때 기업 매출 평균이 4.1% 증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중 저작권은 매출은 11.6%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봤다.
이 때문에 저작권 확보와 보호 기능이 콘텐츠 기업 지원 체계 전반에 유기적으로 결합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불법 복제 적발 확률을 높이고 처벌수위를 강화하는 방안 등이다. 또한 해외 저작권 단속 및 수사역량 강화도 제언했다.

junjun@fnnews.com 최용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