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맞춰 맞춤형 수업, 온라인 콘텐츠, 학습 멘토링, 정서 지원 등 운영
광주광역시교육청이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최소 성취 수준 이수 기준 미도달 학생을 위헤 단위학교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운영 지원에 나선다. 사진은 지난 24일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에서 진행된 업무 담당자 연수에서 서강고 김나나 교사가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실제 사례'에 대해 강의하고 있는 모습. 광주광역시교육청 제공
【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교육청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최소 성취 수준 이수 기준 미도달 학생을 위헤 단위학교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운영 지원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고교학점제는 올해 고등학교 1학년이 되는 학생부터 전면 적용된다. 과목별 '출석률 3분 2 이상', '학업 성취율 40% 이상' 등의 기준을 충족해야 학점을 이수할 수 있다. 고1 학생은 3년간 공통 이수과목 48학점 등 총 192학점을 획득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광주시교육청은 일부 학생의 경우 출석률, 학업성취율 등 과목 이수 기준에 미도달 가능성이 있는 만큼 추가 학습,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등을 통해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는 학기 중에는 예방지도로, 학기 말과 방학기간에는 보충지도로 나눠 운영한다.
예방지도는 과목 이수 기준에 도달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되는 학생을 대상으로 신청을 받아 맞춤형 개별화 수업, AI(인공지능)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한 교육, 정서 지원 프로그램, 교사 멘토링 등을 진행한다.
보충지도는 과목 이수 기준에 도달하지 못한 학생을 대상으로 공강 시간, 방과후, 방학기간에 실시간 쌍방향 온라인 수업, 대면 지도, 온라인 콘텐츠 수업, 보충 과제, 학습 멘토링 등으로 지도한다.
광주시교육청은 단위학교별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운영이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지난 24일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에서 업무 담당자 연수를 실시했다.
또 학교 부담을 줄이기 위해 현장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하고, 각 학교에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기본 운영계획 및 과목별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 운영 계획 지원 자료를 제공했다.
이정선 교육감은 "최소 성취 수준 보장 지도가 현장에 안착해 고교학점제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우리 아이들이 학교에서 배움의 즐거움을 누리고 미래 인재로 자랄 수 있도록 더욱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