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허청이 돈되는 고품질 특허, 이른바 '명품특허' 창출을 위해 지식재산 정책 패러다임 전환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특허청은 26일 오전 서울 강남 삼정호텔에서 '지식재산 전략연구회'를 발족하고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전략연구회는 '명품특허'로 지식재산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백만기 한국지식재산연구원 이사장을 위원장으로 하고, 기업·연구기관·학계·법조계 등 15명의 주요인사가 참여한다.
명품특허는 경제적 가치가 높은 혁신기술에 대해 넓은 독점적 권리를 누릴 수 있고, 제3자에게 유효하고 명확해 권리 안정성이 높은, 이른바 '돈되는 특허'를 말한다.
우리나라는 경제규모에 비해 특허출원은 많지만, 원천·핵심특허 부족으로 인해 산업재산권 무역수지 적자가 지속돼 경제적 가치 창출이 미흡한 상황. 이에 따라 과학기술계에서는 특허성과에 대한 평가를 양에서 질 위주로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 출범으로 미국이 강한 특허전략을 추진하는 가운데 미?중 기술패권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돼 고품질 특허의 중요성이 한층 더 부각되고 있다.
특허청은 고부가가치 특허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전략연구회를 통해, 연구개발, 특허출원·심사·심판, 거래·사업화, 수출, 지재권 보호 등 지식재산 생태계 전반에서 중점과제들을 도출하는 한편, 기업·연구기관 등 혁신주체와 전문가 의견을 폭넓게 수렴, 정책을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kwj5797@fnnews.com 김원준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