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 산불재난대응 특별위원회 긴급회의에서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국민의힘이 27일 전국 동시다발적 산불에 대응하기 위한 특별위원회를 발족하고 첫 회의를 열었다.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산불재난대응 특별위원회 긴급회의에서 "산불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머물지 않고 재발 방지를 위한 근본 대책 마련과 국가대응시스템의 전반적 정비까지 책임감있게 추진하겠다"고 선언했다.
권 비대위원장은 이번 산불 사태에 대해 "단순히 지역 재난이 아니라 국가적 비상사태"라며 "정치가 할 일은 오직 하나,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일이다. 집권여당으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권 비대위원장은 "이만희 위원장을 중심으로 현장 상황을 살피면서 정부, 지방자치단체, 소방당국 등과 협력해 신속한 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겠다"며 "다신 이런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산불 진화는 산림청 등 행정기관의 몫이지만 일상 복구와 재난 예방은 정치의 몫"이라며 "산불 대응과 복구, 재발방지를 포함한 종합대책마련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더불어민주당을 향해 초당적 협력을 촉구했다. 권 원내대표는 "국토가 불타고 있는 마당에 국정에 불 지르는 연쇄탄핵 시도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재난 앞에서 만큼은 정쟁을 멈추는 것이 국민을 위한 최소한의 도리임을 명심하길 바란다"고 지적했다.
이번 산불을 계기로 재난 예방을 위한 대안을 마련하겠다는 점도 강조했다. 권 원내대표는 "산불은 초기 진화가 가장 중요하지만 산림청이 보유한 헬기 50대 중 담수용량 8톤 이상의 헬기는 7대이며, 그 중 2대는 정비 중"이라며 "더 큰 문제는 헬기 임차비용을 지자체가 부담하는 구조"라는 점을 짚었다. 그러면서 "기획재정부는 지자체가 부담하라는 입장만 반복하고 있다.
그러나 산림이 많은 지역일수록 규제가 많고 산업기반이 약해 재정이 열악한 것이 현실"이라며 "기재부가 산림이라는 공공재 관리를 위해 재정이 열악해진 지자체에 감당할 수 없는 부담을 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아울러 권 원내대표는 "대형 재난을 겪지 않는 국가는 없다. 그러나 아픔을 교훈 삼아 제도를 바꾸고 대안을 만들어 내는 나라만이 선진국"이라며 "특위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고 대안을 제시하는 책임 정치의 출발점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haeram@fnnews.com 이해람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