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카카오뱅크가 없앤 ATM 수수료 '379,400,000,000원'

기술 혁신으로 총 1조688억원 환원
우대 조건 없이 누구에게나
동등한 서비스 혜택 제공
중도상환해약금도 '1735억' 면제

카카오뱅크가 없앤 ATM 수수료 '379,400,000,000원'
카카오뱅크 제공

[파이낸셜뉴스] 카카오뱅크가 기술혁신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한 금전적 혜택이 1조원을 넘겼다고 27일 밝혔다. 지난 2017년 출범 이후 고객 누구나 동등한 서비스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급여 이체, 적금 가입, 통신비·관리비 자동 이체 등 복잡한 서비스 우대 조건을 없앤 결과다.

카카오뱅크는 조건 및 횟수 제한 없는 자동입출금기(ATM) 수수료 면제, 모든 대출의 중도상환해약금 면제, 체크카드의 캐시백 혜택 등을 통해 약 1조688억원의 금융 혜택을 고객에게 환원했다. 카카오뱅크는 전국 모든 ATM에서 입출금 및 이체 거래를 수수료 없이 제공하고 있다. 누적 면제 수수료만 3794억원에 달한다. 금융권에서 유일하게 모든 대출의 중도상환해약금도 면제했는데 그 총액은 1735억원으로 집계됐다. 그만큼 고객은 금융비용을 절감한 것이다.

카카오뱅크는 "2500만 고객과 함께 '모두의 은행'으로 성장하며, 금융권 최초로 리눅스 기반 오픈소스를 도입해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했다"면서 "이를 통해 고객의 금융 비용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다른 은행들이 일부 수수료 면제 혜택에 전월 카드 실적이나 급여 이체 조건을 거는 것과 대조적이다.

카카오뱅크는 체크카드도 사용 실적과 관계없이 환급(캐시백) 혜택을 제공한다. 주력 상품인 '프렌즈 체크카드'는 지난해 누적 발급 건수 3100만장을 돌파했다. 해당 체크카드를 통해 고객들은 누적 4781억원을 돌려받았다. 올해 카카오뱅크는 'K-패스 프렌즈 체크카드'를 출시해 대중교통 혜택도 강화했다. 앞으로도 다양한 파트너사와 협업해 체크카드 혜택의 폭을 확장해 나갈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금융 소비자 권리 강화를 위해 금리인하요구권을 적극 안내하고 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은 누적 378억 원의 이자를 절감했다.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하반기에는 인터넷 전문은행 중 가장 많은 금리인하요구권 신청과 수용 건수를 기록하며, 금융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는 데 기여했다. 이자감면액 역시 전체 은행 가운데 2위를 차지했다. 카카오뱅크는 신용평점 상승 고객 등 금리인하 가능성이 높은 고객에게 적극적으로 금리인하요구권 안내를 진행해 카카오뱅크 사례가 금융권에 우수사례로 확산되기도 했다.

카카오뱅크는 IT 혁신을 통해 금융 사기 예방에도 힘쓰고 있다. 지난해 말까지 고객의 금융 사기를 보호한 금액은 648억 원에 달한다. 카카오뱅크는 24시간 부정사용방지시스템(FDS)를 통해 이상 거래 징후가 감지된 고객에게 안내하고 금융거래를 자동 차단하고 있다. 이를 통해 막은 이상 거래는 누적 기준 37억원이다. 카카오뱅크는 AI기반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FDS의 사기 대응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금융소비자 보호를 강화할 예정이다.

한편, 카카오뱅크는 중·저신용자를 위한 포용금융 실천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만 2조5000억원 이상의 중·저신용 대출을 공급했다. 출범 이후 총 공급액은 13조원을 넘어섰다. 중저신용자의 대출 문턱을 그만큼 낮춘 것이다.
카카오뱅크가 개발한 대안신용평가모형인 '카카오뱅크 스코어'의 공로다.

카카오뱅크는 금융권 최초로 3700만 건의 가명 결합 데이터를 활용해 독자적 대안신용평가모형(CSS) ‘카카오뱅크 스코어’를 개발·적용하고 있다. 이를 통해 금융정보 위주의 산출로 대출이 거절됐던 중·저신용 고객에 8100억원 규모의 대출을 추가로 공급했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