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천덕꾸러기에서 당뇨 해결사로… ‘늘보리’로 보리밥·보리차 만들어 보세요 [한의사曰 건강꿀팁]

천덕꾸러기에서 당뇨 해결사로… ‘늘보리’로 보리밥·보리차 만들어 보세요 [한의사曰 건강꿀팁]
한진우 인산한의원 원장

당뇨병 환자 수의 급증과 당뇨병 합병증에 관한 공포로 인해 혈당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혈당관리에 도움이 되는 곡물이 있으니 바로 늘보리가 그 주인공이다.

보리는 찰보리와 겉보리로 나뉘는데 겉보리는 도정을 해도 껍질이 남아 가치가 낮은 걸로 전해진다. '겉보리 서 말만 있어도'라는 속담이 있듯이 경제적 가치가 매우 낮았음을 유추할 수 있다. 늘보리는 겉보리를 약간 더 도정한 것을 말한다. 귀리라는 작물에 대해 알아본 것과 같이 늘보리도 오래전엔 천덕꾸러기 취급을 받다가 최근에 각광을 받는 곡물 중 하나다.

한의학에서는 보리를 '맥(麥)'이라 하며, 성질이 서늘하고 비장과 위를 조화롭게 하는 곡물로 본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보리가 "건비화습(健脾化濕)", 즉 비장을 튼튼하게 하고 체내 습기를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당뇨병과 관련 깊은 습담(濕痰)과 어혈(瘀血)의 제거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한의학에서는 당뇨병을 '소갈(消渴)'로 보는데, 늘보리는 체내 진액을 보충하고 갈증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여 소갈 증상 완화에도 효과적이다.

영양학적으로 늘보리는 베타글루칸 함량이 높아 혈당 상승을 완만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베타글루칸은 수용성 식이섬유로 위장에서 젤 형태를 이루어 탄수화물의 흡수를 지연시키고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한다. 이는 식후 혈당 급등을 막아 당뇨 환자에게 유익하다. 또한 늘보리에 포함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항산화 작용을 하여 당뇨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늘보리는 밥에 혼합하여 섭취하거나 차로 끓여 마시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보리차는 이뇨 작용과 함께 위장 기능을 도와 체내 노폐물 배출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약간 차가운 성질이 있어 속이 차거나 평소 소화기가 약한 사람은 따뜻한 성질의 곡물과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밥에 혼합할 때 소화를 돕기 위해 압맥이라 하여 보리를 쪄서 눌러 놓은 제품을 이용하면 소화 흡수가 좀 더 좋아질 수 있다.

한진우 인산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