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어낼리시스 보고서 "휴머노이드, 中이 美 앞서"
"中 의존도 줄이기 위한 리쇼어링·프렌드쇼어링 필요"
중국의 인공지능(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 대여 붐이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지난달 29일 중국 국영 중앙(CC)TV 설특집 종합 쇼 프로그램인 '춘완(春會)'에서 휴머노이드 로봇이 군무를 선보이는 모습. 뉴시스 제공
[파이낸셜뉴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경쟁에서 중국이 미국을 앞서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28일(현지시간) 미 경제 전문 방송 CNBC는 반도체 및 인공지능(AI) 분야 연구 분석 기관 세미어낼리시스의 최근 보고서를 인용, "중국이 전기차 산업에서 이룬 파괴적 영향력을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도 재현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고 보도했다.
전기차 시장을 주도했던 테슬라 매출을 중국 기업 비야디(BYD)가 추월한 것처럼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에서도 중국이 미국 기업들보다 앞서 나가고 있다는 것이다.
미국에서는 테슬라의 옵티머스가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테슬라의 올해 생산 계획은 약 5000대다.
보고서는 아직 대량 시장에 진입하지 못한 앱트로닉, 보스턴 다이내믹스 등 미국 경쟁업체보다는 우위에 있지만, 중국 기업에 비해서는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중국 항저우에 본사를 둔 유니트리 로보틱스는 지난달 전자상거래 플랫폼 제이디닷컴에서 휴머노이드 로봇 2대를 판매했으며, 상하이에 위치한 로봇 스타트업 아기봇은 옵티머스와 마찬가지로 올해 5000대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유니트리의 경우 지난 1월 가장 성능이 뛰어난 로봇 16대를 인간 무용수들과 함께 춤추게 하는 시연을 전국 방송에 내보내 큰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테슬라는 올해 1000대 이상의 옵티머스를 테슬라 공장에 실전 배치할 계획이지만, BYD와 지리 등은 이미 유니트리의 로봇을 일부 공장에 배치하고 있다. 또한 유니트리, 아기봇뿐만 아니라 샤오미와 BYD, 체리, 샤오펑 같은 전기차 제조사들도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에 뛰어든 상태다. 모건스탠리의 지난 2월 연구노트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인간형'이란 단어가 언급된 특허 출원 수는 중국이 5688건으로 미국의 1483건을 크게 앞질렀다.
가격 측면에서도 중국이 높은 경쟁력을 가져가고 있다. 옵티머스는 판매가가 2만달러(약 2942만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대량 생산, 짧은 연구·개발(R&D) 주기, 중국산 부품의 저렴한 비용을 활용할 때만 가능하다.
그러나 유니트리는 지난 5월 소비자를 대상으로 옵티비스 예상 가격 보다 낮은 1만6000달러(약 2353만6000원)에 인간형 로봇을 출시했다.
보고서는 "유니트리 로봇은 현재 시장에서 유일하게 실행할 수 있는 인간형 로봇으로, 미국산 부품과도 완전히 분리돼 있다"며 "지능형 로봇 시스템, 특히 인간형 로봇 분야에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유일한 국가는 중국이며, 미국은 모든 면에서 뒤처지고 있다"고 경고했다.
레이크 크누누트센 세미어낼리시스 분석가는 "미국 기업들이 중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국내 또는 동맹국을 통한 강력한 제조 및 산업 기반을 신속히 구축해야 한다"며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부품 조달과 제조를 국내로 이전(리쇼어링)하거나 우방국으로 이전(프렌드쇼어링)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jimnn@fnnews.com 신지민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