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당정이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산불과 미국 신정부의 관세 부과로 인한 통상리스크 현실화 등 위기 상황 극복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을 추진하기로 하면서 채권 시장에도 긴장감이 감돈다. 추경은 적자 국채 발행으로 이어져 채권 가격을 떨어뜨려 금리 상승재료가 된다.3월 31일 코스콤 CHECK에 따르면 외국인은 이달 1일부터 28일까지 국채 선물 11조6000억원을 순매도했다. 2월 5조원 넘게 순매수했던 모습과는 다른 모습이다.
국채 선물 시장에서 매도 포지션을 취했다는 것은 국채 금리가 오를 것이라는 데 베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채 가격은 금리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이다.
매도 포지션은 국채 선물 가격이 하락할 때 수익이 발생한다. 정부는 산불, 트럼프 관세 등 위기 극복을 이유로 10조원을 필수적으로 추경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4월 국회 통과를 촉구하고 나섰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시장은 이미 20조원 규모의 추경을 반영한 상황"이라며 "20조원의 추경을 고려했을 경우 적자국채는 15조원 내외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다만, 적자국채 규모에 대한 불확실성은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궈 연구원은 10조원 추경에 대해 "예상보다 적은 규모"라며 단기적으로 채권 가격 상승 재료(금리 하락)라고 보기도 했다. 다만 "2차 추경 가능성이 있다"면서 "정권 교체 여부와 관계없이 경기 둔화를 위한 재정 확장 필요성은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연초 향후 추가경정예산 집행도 국가신용도를 흔들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 바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들이 국가 신용등급을 평가할 때 가장 먼저 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이 위험신호로 인식되는 50%를 넘어설 수 있어서다.
나이스신용평가는 연초 1월 2일 "GDP 대비 부채비율 상승 가속화는 2025년 이후 국가 신용등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 목소리를 냈다. 이혁준 나이스신용평가 연구원은 "2015년과 2016년 GDP 대비 부채비율은 국가재정법상 국가채무 기준 34%대였으나 2019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 2024년 말 47%대까지 올랐다"면서 "신용평가사는 일시적 이벤트보다는 구조적 채무상환능력 변화를 더 중시한다. 국고채 발행 급증에 따른 정부 채무상환능력의 지표 악화는 국가 신용등급 하방압력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khj91@fnnews.com 김현정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