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기술 실증 유형 3개→6개로, 지원 규모도 50개사로 늘려
광주광역시가 창업기업들의 혁신기술 제품 실증을 위해 도시 전역을 시험무대로 내주는 창업기업 제품 실증 지원 사업을 올해 대폭 확대하고, 오는 4월 1~18일 참여 기업을 모집한다. 광주광역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가 창업기업들의 혁신기술 제품 실증을 위해 도시 전역을 시험무대로 내주는 창업기업 제품 실증 지원 사업을 올해 대폭 확대하고, 오는 4월 1~18일 참여 기업을 모집한다.
이는 실증 지원에 참여한 기업들이 매출 증대와 고용 창출, 판로 확보 등에서 효과를 톡톡히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해 참여한 45개 기업들의 경우 총 70억원의 매출 증가, 51억원의 투자 유치, 67명의 신규 채용 등의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광주시는 특히 올해 실증 지원 규모를 50개사로 확대하고, 실증 유형도 기존 △자율형 △시민체감형 △공공수요 솔루션형에 △공공인프라 솔루션형 △대·자·보 솔루션형 △장소 제공형을 새롭게 추가했다.
이번 공모는 △자율형 △공공인프라 솔루션형 △장소 제공형 참여 기업 29곳을 모집하고, 이후 △시민체감형 △공공수요 솔루션형 △대·자·보 솔루션형 참여 기업은 순차적으로 모집할 예정이다.
'자율형'은 상용화 직전의 제품과 서비스를 보유한 창업 7년 이내(신산업 분야는 10년 이내) 기업이 대상이며, 실증하고자 하는 혁신기술과 관련된 실증과제 및 장소를 기업이 자율적으로 신청하면 된다. 지원 대상으로 선정되면 과제별 최대 1억원의 실증 비용을 지원한다.
'공공인프라 솔루션형'은 혁신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을 빛고을창업스테이션(STA·G, 스테이지), 정보문화산업진흥원, 광주지식산업센터(I-PLEX) 등 공공기반 시설에서 실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선정되면 최대 2500만원의 실증 비용을 지원한다.
'장소 제공형'은 성능 검증이 시급이 필요하나 장소 협의가 어려운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테스트 장소를 지원한다.
광주시는 실증을 성공리에 마친 기업에게 '실증확인서'를 발급한다.
또 창업기업이 희망하는 판매처를 실증 현장에 초대해 홍보하는 '산업현장 탐방(테크니컬 투어)'과 해외 실증 등 판로 개척을 위한 후속 지원도 진행한다.
자세한 내용은 광주시와 광주테크노파크 누리집에서 확인하면 된다.
주재희 광주시 경제창업국장은 "올해는 실증 유형과 지원 규모를 대폭 확대해 더 많은 창업기업에게 고품질 확보와 기술 사업화 등을 위한 실증 기회를 제공할 계획"이라며 "창업기업의 안정적 성장과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지원에 힘쓰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