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가상계좌를 이용한 수납절차. 사진=국방부 제공
국방부가 1일부터 시중 6대 은행과 가상계좌를 활용한 국고 수납 서비스를 시작해 전자 송금이 가능해졌으며, 국방 재정 업무의 디지털화가 가능해졌다고 밝혔다.
기존엔 민원인들이 직접 금융 기관을 방문해 수납 업무를 처리하거나 일부 금융 기관이 발급하는 '전자 납부 번호'를 이용해 세금을 원격 납부해야하는 제한이 있었다.
국방부는 2023년 8월 차세대 국방재정정보시스템을 개발하고 2024년 하반기부턴 시중 6대 은행과 가상계좌 개설을 통한 국고 수납 서비스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해 정보시스템과 각 은행 간 연계를 추진한 바 있다. 은행별 개발 상황을 고려해 연계 테스트 및 시범 운영을 거친 후 오늘부터 본격 운영에 나선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이번 업무 개선을 시작으로 재정 분야에서 민간 부문과 상생협력을 이어가면서 지속해서 국민들의 편의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부연했다.
국방부는 종이 형태의 납부 고지서를 모바일 형식의 전자 납부 고지서로 전환할 예정이라고도 밝혔다.
전환이 마무리될 경우 디지털 기기를 통한 실시간 수납이 가능해지며, 투입 예산이 기존 종이 고지서 발송 비용의 25분의 1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2021년 7월 11일 오전 서울역 광장 인근에서 군인들이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자료사진) 사진=뉴스1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