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

소호은행 "국내 첫 소상공인 특화 금융 실현"

제4 인터넷전문은행 도전장
초기자본금 3000억원으로 시작
영업 개시 4년 차 흑자전환 목표

네 번째 인터넷전문은행에 도전하고 있는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이 "대한민국 최초의 소상공인 맞춤형 은행이 되겠다"고 밝혔다. 개인금융과 기업금융 사이에서 소외됐던 소규모 자영업자·소상공인을 위한 혁신상품을 개발해 '사장님' 금융을 실현한다는 구상이다.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은 1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었다. 컨소시엄을 이끄는 한국신용데이터(KCD) 김동호 대표는 "대한민국 사업장의 과반이 소상공인이고, 경제활동 인구의 4분의 1이 소상공인이거나 소상공인 사업장 종사자"라며 "소상공인이 성공하고,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돕는 은행을 만들겠다"고 설명했다.

KCD는 전국 170만여개 사업장에서 쓰이고 있는 경영관리 서비스 '캐시노트'를 통해 실시간 매출 흐름, 업종 및 지역 특성, 재방문율 등을 확인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이를 통해 소상공인 사업장의 현재는 물론 미래까지 파악할 수 있어 기존 은행권에서 불가능했던 업종별·지역별로 대출관리를 할 수 있다.

컨소시엄은 현재 은행들이 대출을 착실하게 갚을 수 있는 사장님과 그렇지 못한 사장님을 구분할 능력이 부족하다고 짚었다.

컨소시엄은 KCD와 한국평가정보(KCS)가 가진 데이터를 활용해 이를 구분할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잦은 신용대출로 신용도가 낮거나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 중 착실하게 이자를 갚아나갈 수 있는 이들을 선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소호은행은 수익성과 건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사장님은 사업자금을 융통할 수 있다.

소호은행 컨소시엄은 지난달 금융위원회에 제4인뱅 예비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하나·우리은행·NH농협·BNK부산은행이 참여한 만큼 사실상 유일하게 인가 가능성이 있는 컨소시엄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소호은행은 혁신상품을 통해 소상공인이 겪는 사업자금 융통 문제를 풀겠다고 공언했다. 기존 인터넷은행들이 모임통장 등 수신에 집중해왔다면 소호은행은 여신에서 혁신을 보여주겠다는 전략이다. 구체적으로는 △'나중 결제'와 '오늘 정산' △'맞춤형 지원금·대출 연결' 서비스 계획을 공개했다. 나중결제를 통해 사업자가 필요한 물품을 구입할 때 은행이 먼저 돈을 내준다. 나중에 사장님에게 돈을 받는 것이다.

컨소시엄의 초기 자본금은 3000억원이다.
카카오뱅크(3000억원)와 케이뱅크(2500억원), 토스뱅크(2500억원)의 초기 자본금과 비슷한 수준이다. 김 대표는 "초기 자본금의 5배(1조5000억원)까지는 기존 주주가 자금을 넣을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이어 "4년차에 흑자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다"라며 "플랫폼 수수료 등을 통한 비이자수익은 20% 이상 가져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