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동부 전역 산불 피해 조기 복구
5개 반, 17개 부서, 1108명(타 시·군 지원 포함)
경북 안동시 일직면 권정생어린이문학관 앞에 산불 이재민 긴급주거시설로 모듈러주택이 설치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안동=김장욱 기자】 "최우선 목표는 도민의 조기 생활 안정!"
경북도는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시작돼 북동부 전역에 발생한 산불로 심각한 피해를 본 주민들의 조기 생활 안정 및 공공시설 조기 복구를 위해 '신속피해조사단'을 구성(5개 반, 17개 부서, 1108명(타 시·군 지원 포함))해 본격 운영 중이라고 2일 밝혔다.
도에 따르면 이번 산불로 인한 피해 현황(잠정)은 사망 26명, 산림 4만5157㏊, 주택 3766동, 농작물 3414㏊, 시설하우스 364동, 축사 212동, 농기계 5506대, 어선 16척, 문화재 25개소 등이다.
신속피해조사단은 생활안정반, 건축시설반, 농축산반, 임업반, 공공시설반으로 구성돼 안동, 의성, 청송, 영양, 영덕 등 5개 지역의 산불 피해를 사전에 철저히 조사 후 피해 사항을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에 입력해 앞으로 중앙합동조사단 운영 때 원활한 피해 조사와 조기 복구계획 수립에 도움이 되도록 할 예정이다.
특히 가장 큰 피해를 본 산림 분야 조사를 위해 도 공무원과 산림전문가 등 191명을 현장에 투입했다.
이들은 위성 영상분석, 드론, 라이다 등 첨단과학 장비를 활용한 정밀한 조사로 지역 여건과 산림기능을 고려한 친환경 복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또 밭작물, 시설하우스, 과수, 축산시설, 농기계 등 농업분야 조사를 위해 384명, 공공건물, 주택, 마을회관 등 건축 분야에 103명이 투입돼 신속한 조사가 이뤄질 수 있도록 총력을 다하고 있다.
이철우 지사는 "산불 피해 주민의 조속한 일상 회복을 위해 피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력을 총동원해 차질 없이 복구를 추진하고 기존의 제도와 틀을 넘어서는 지원 방안도 추가로 검토하겠다"면서 "신속한 피해 조사를 통해 조속한 복구가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강조했다.
gimju@fnnews.com 김장욱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