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당시 감소분 회복하고 100만명 돌파
2023년과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늘며 폭풍성장
정부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전략' 조기 달성
[파이낸셜뉴스]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지난해 117만명을 기록해 지난 2023년 대비 2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줄었던 외국인 환자가 회복 단계를 넘어 최초로 100만명을 넘기며 역대 최대 실적을 다시 달성하기 시작했다.
2일 보건복지부는 2024년 우리나라를 방문한 외국인 환자가 117만명으로 2023년 61만명 대비 약 2배(93.2%) 증가했다고 밝혔다.
외국인 환자 유치는 지난 2019년까지 연평균 23.5% 꾸준히 늘었으나, 코로나19 영향으로 2020년 12만명으로 급감했으며, 이후 3년간의 회복 단계를 거쳐 2023년에는 61만명, 지난해에는 117만명까지 증가했다.
이는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2009년 이래 역대 최대 실적으로 16년간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 환자는 누적 505만명에 이르게 됐다.
보건복지부 제공
지난해 202개국의 외국인 환자가 우리나라를 방문했고, 국가별로는 일본·중국·미국·대만·태국 순으로 집계됐다. 일본·중국이 전체 외국인 환자의 60.0%(70.2만명)를 차지했으며, 미국 8.7%(10.2만명), 대만 7.1%(8.3만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대만(550.6%)과 일본(135.0%), 중국(132.4%) 순으로 가장 높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피부과를 방문한 환자의 수가 늘어난 이유로 보인다.
권역별로는 동아시아의 방문 비중이 69.3%로(81만명) 가장 높았으며, 미주 10.0%(11.7만명), 동남아시아 9.6%(11.2만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진료과 별로는 피부과 진료가 70.5만명으로 전체 진료과목 중 56.6%로 가장 많았고그 다음으로 성형외과(11.4%)로 나타나 미용 목적으로 한국을 찾는 외국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내과통합(10.0%), 검진센터(4.5%)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 2023년과 비교하여 피부과(194.9%), 한방통합(84.6%), 내과통합(36.4%) 순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24년 한국 의료서비스 해외 인식도 조사'에 따르면, 한국 화장품산업은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국가 19개국 중에서 1위를 차지했으며, 이러한 외국인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높은 수준의 호감도가 우리나라의 피부과와 성형외과를 많이 방문하게 된 이유로 추정된다.
의료기관 종별로 보면 외국인들은 의원급을 가장 많이 방문(82.0%)했으며, 종합병원(6.0%), 상급종합병원(5.1%) 순으로 이용했다. 의원을 이용한 환자는 전년 대비 138.4%로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한의원(113.2%), 치과병원(24.7%)도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반면,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은 전년 대비 각각 14.4%, 7.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은 전체 외국인 환자의 85.4%인 100만명을 유치했으며, 경기(4.4%), 부산(2.6%), 제주(1.9%), 인천(1.8%) 순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 쏠림 현상이 큰 이유는 서울시 소재 유치등록 의료기관이 지난해 1994개소(63.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고 특히, 급증하는 외국인 환자의 피부과 진료 수요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비수도권 지역도 제주(221.0%), 부산(133.6%), 충북(116.1%)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제주는 전년 대비 피부과가 781.4% 증가했으며, 부산은 피부과 674.0%, 한방통합 170.9%, 치과 156.5%, 성형외과 127.8% 순으로 증가했다.
정은영 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 국장은 “2023년 5월 발표한 '외국인 환자 유치 활성화 전략'을 통해 2027년 달성 목표였던 70만명의 외국인 환자를 유치하려는 정부 목표를 조기 달성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정 국장은 “외국인 환자 유치사업은 ‘의료’와 ‘관광’이 융합된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지속 가능한 산업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정부 지원 확대와 현장 체감형 법·제도 정비를 지속해 나아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