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광주광역시, '산업현장 사망사고 제로화' 종합 대책 수립

10억원 들여 4대 전략‧17개 과제 추진

광주광역시, '산업현장 사망사고 제로화' 종합 대책 수립
광주광역시가 올해 '산업현장 사망사고 제로화'를 목표로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 사진은 산업재해예방 안전문화 확산 캠페인 모습. 광주광역시 제공

【파이낸셜뉴스 광주=황태종 기자】광주광역시가 올해 '산업현장 사망사고 제로화'를 목표로 종합 대책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지역 산업현장 재해 사전 예방 및 근로자 안전보건 증진을 위한 '2025년 산업재해예방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특히 '산업현장 선제적 안전 관리로 사망사고 제로화'를 목표로, 사업비 약 10억원을 들여 △안전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예방체계 구축 △산업재해 취약부문 지원 및 현장 점검 강화 △교육·캠페인 통한 안전문화 의식 확산 △안전한 일터 위한 근로환경 지원 등 4대 전략과 17개 과제를 시행한다.

먼저, 안전 네트워크 강화를 위해 광주지방고용노동청,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안전문화실천추진단 등 유관 기관과 산업재해예방 합동 점검 및 안전문화 확산 캠페인을 전개하는 등 협력 체계를 강화한다.

또 3대 사망사고 줄이기 운동본부 산업재해 부문의 정책지원단과 시민실천단과 함께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정책 자문, 사업자·근로자에 대한 안전 관리 인식 개선 활동을 실시한다.

지역 산업안전보건 우수기업 인증 및 작업환경 개선 비용 지원과 50인 이하 소규모 사업장의 위험성 평가 컨설팅 지원을 통해 소규모 사업장의 산재 사전 예방도 강화한다.

취약부문 산업재해 예방을 위해 안전보건지킴이단(6명)을 운영해 공공 및 민간 건설 현장을 점검해 추락 등 건설 현장 위험요소 제거를 위한 지도·계도활동을 실시한다. 또 건설 현장 유해 위험요인 발굴 및 예방을 위해 광주시 전용앱 '안전나침반'을 활용해 스마트 안전 관리도 진행한다.

안전문화 의식 확산을 위해선 업종별, 계절별, 주요 사고 유형별 핵심 안전 수칙 준수를 위한 캠페인을 광주지방고용노동청,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등과 함께 전개한다.
플랫폼 노동자, 배달 노동자, 외국인 근로자 등 안전 취약계층 맞춤형 안전교육도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산단 내 영세사업장(상시근로자 20인 미만) 현장 노동자 휴게시설 설치 지원, 혹서·혹한기 플랫폼이동노동자 안전쉼터 마련, 제조업 분야 고위험 사업장에 3-YES(예측·예비·예방) 시스템 구축 등 핵심 위험요인 제거에도 노력한다.

배복환 광주시 시민안전실장은 "언제 어디서나 방심하면 발생할 수 있는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관심과 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면서 "사업주는 안전한 일터 조성을, 근로자는 안전 수칙 준수를 꼭 지켜달라"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