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진공상태' 헌재 인근 150m로 확대…집회·시위자 전면통제

안국역 1·6번출구, 수은회관 등 차단선
버스·트럭 200여대 동원…시위자 이동 설득
해산통고 후 남으면 '불법집회' 수사대상
박근혜 선고 당시 고려해 차단선 확대
3일 완충지대 추가 설정…시민 통행은 보장

'진공상태' 헌재 인근 150m로 확대…집회·시위자 전면통제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 기일을 이틀 앞둔 2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 도로 통행이 통제되고 있다. 연합뉴스


[파이낸셜뉴스] 경찰이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이틀 앞두고 헌법재판소 인근을 차벽으로 막는 '진공상태'를 반경 150m로 확대했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2일 "오늘 오후 2시부터 150m 구간까지 확장해 설치를 완료했다"고 말했다.

이 구간에는 안국역 1·6번출구와 수은회관, 현대 계동사옥, 재동초 로타리 등 4곳에 차벽트럭으로 차단선을 구축했다. 이날 오후 2시부터 차단선 내 집회, 시위를 전면 금지하고 있다. 차벽을 설치하는 데 버스 160여대와 차벽트럭 20여대 등 총 200여대의 차량이 동원됐다.

다만 차단선 내 일부 단체들이 남아 있어 경찰은 구역 밖으로 이동을 설득하고 있다. 자정 이후 해산 통고를 받고도 남아 있는 경우 처벌받을 수 있다. 일부 남아있는 시위자에 대해서는 불법 집회로 보고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선고 당시 차단선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보고 구역을 설정했다. 경찰 관계자는 "당시 재동로타리와 너무 가까워 시위자들이 헌재로 밀고 들어와 방어가 어려웠다"며 "경찰의 충분한 활동 반경이나 경력 규모 등을 고려해 차단이 용이한 지점을 정했다"고 말했다.

선고 전날인 3일에는 차단선을 확대해 탄핵 찬반 양측의 충돌을 막기 위한 완충구역을 설정하는 등 단계적으로 확대한다. 이날 설정한 차단선은 헌재를 보호하기 위해 구축한 것이다. 주말마다 열리는 광화문 세종대로 찬반 집회 사이에 설정된 완충구역을 인사동을 걸쳐 헌재까지 연장한다.

경찰은 차단선 내 집회 시위자 등을 차단하되 주민 등 일반 시민 통행은 제한하지 않는다는 방침이다. 경찰 관계자는 "외견상으로 구별이 가능하다"며 "일단 통과해도 움직이지 않으면 차단선 밖으로 내보내는 등 인도에 사람이 쌓이지 않게 할 것"이라고 했다.

선고 당일 경찰은 신고 인원을 초과하는 인원이 모일 것으로 보고 대비하고 있다.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이 10만명, 자유통일당이 3만명 등 규모로 헌재 인근 집회를 신고했다. 경찰 관계자는 "장소 확보를 위한 신고가 이어지고 있고, 주최 측도 규모를 짐작하지 못하고 있다"며 "신고 인원이 넘어서면 여타 장소도 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헌재 경내에는 경찰들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선고 당일에는 경찰특공대 20여명이 배치돼 테러나 드론 공격에 대비한다. 선고 당일에는 국회, 한남동 대통령 관저, 용산 대통령실, 외국 대사관, 국무총리공관, 주요 언론사 등에도 기동대를 배치한다.

종로·중구 일대는 특별범죄예방강화구역으로 설정돼 8개 구역의 치안을 관리한다.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개인용 소화기를 경찰관 1인당 1개씩 배치했고, 극단 행동을 하는 시위자에 대비해 소화포 194개를 순찰차 1대당 1개씩 배치했다. 불법행위 등 선동이 우려되는 다수의 유튜버에 대해서는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unsaid@fnnews.com 강명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