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전남도, '전력자립률 고려한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시행 촉구

5개 시·도 공동으로 산업부·국회 등에 건의문 제출

전남도, '전력자립률 고려한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시행 촉구
전남도는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충남도와 공동으로 '전력자립률을 고려한 지역별 차등 요금제 시행 촉구 건의안'을 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회 등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사진 가운데)가 공동 건의안을 전달하고 있는 모습. 전남도 제공

【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강원특별자치도, 충남도와 공동으로 '전력자립률을 고려한 지역별 차등 요금제 시행 촉구 건의안'을 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회 등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전남도에 따르면 지역별 전기요금제는 '전기판매사업자(한국전력공사)가 분산에너지 활성화 및 국가 균형 발전 등을 위해 달리 정할 수 있다'라고 규정한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에 근거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산업통상자원부 국정 감사에서 전기요금 차등 지역 범위를 수도권, 비수도권, 제주로 나누는 3분할안이 공개됐고, 올해 산업통상자원부 업무 계획에 도매시장부터 지역별 전기요금제를 단계적으로 도입하는 내용이 담겼다.

하지만 전남도는 지역별 전기요금은 지리적 인접성에 근거한 획일적·권역별 기준이 아니라 발전원으로부터 수용가까지 송배전 비용 등 전력 공급 원가 차이가 반영되는 전력자립률이 최우선으로 고려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에 지난해 12월 전력자립률이 200% 내외로 높은 5개 시·도가 공동 간담회를 시작으로 지역별 전기요금제 적용 기준에 대한 지속적 논의를 거쳐 대정부 건의문 합의안을 마련해 지난 3월 28일 시·도시자가 서명 협약을 완료했다.

5개 시·도는 공동 건의문에서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는 지역별 전력 수급 불균형 해소와 수도권으로 향하는 국가 신규 전력망 건설 부담 최소화를 위해 첨단 전략 산업 분야 전력 다소비 기업이 전력자립률이 높은 지역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 △광역지자체별 전력자립률 최우선 고려 △명확한 적용 기준 공개 및 지자체 사전 의견 반영 △국가 균형 발전 및 분산에너지 활성화라는 입법 취지와 부합하는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실행을 촉구했다.

전남도는 앞으로도 4개 시·도와 공동 협력해 합리적 지역별 차등요금제 도입을 위해 국회포럼 개최, 중앙 부처 및 국회, 유관 기관 건의 활동 등을 펼칠 계획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반도체, 이차전지, AI 데이터센터 등 첨단 전략 산업 전력 다소비 기업이 전력자립률이 높은 지역으로 이전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종합적 인센티브가 필요하다"면서 "이를 위한 핵심 과제인 지역별 전기요금제가 국가 균형 발전에 기여하는 제도로서 성공적으로 도입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