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 6・25참전유공자 기념탑, 4일 춘천대첩기념평화공원서 제막
3286명 이름 각인, 춘천대첩 참여 국군·경찰·민간인·학생 동상도 설치
국비 포함 6억6000만원 투입 건립, 6·25참전유공자 등 150여명 참석
[파이낸셜뉴스]
춘천시 6.25참전유공자 기념탑 사진 및 조감도. 사진=국가보훈부 제공
국가보훈부는 강원도 춘천 출신 6·25참전유공자 3286명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고 기리기 위한 ‘춘천시 6·25참전유공자 기념탑’ 제막식을 4일 개최한다고 3일 밝혔다.
보훈부에 따르면 이날 제막식은 춘천대첩기념평화공원에서 춘천시 주최,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 춘천시지회 주관으로 개최한다.
제막식에는 오진영 국가보훈부 보훈문화정책실장,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 육동한 춘천시장, 김진호 춘천시의회 의장, 손희원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 회장과 염기원 춘천시 지회장, 참전유공자 등 150여명이 참석한다.
강정애 국가보훈부 장관은 “춘천대첩에 참전한 군인·경찰·민간인·학생을 기리기 위한 6·25참전유공자 기념탑은 추모의 공간을 넘어 춘천지역 호국영웅들의 숭고한 나라사랑과 호국정신을 되새기는 산 교육의 장이 될 것”이라며 “국가보훈부는 앞으로도 미래 세대들이 6·25전쟁의 역사와 나라를 위한 영웅들의 희생과 헌신을 기억하고 계승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춘천은 6・25전쟁 개전 초기 춘천대첩을 통해 북한군의 남하를 지연시켜 유엔군 파병에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는데 기여했고, 이후 유엔군이 인천상륙작전으로 전세를 뒤집는 계기를 만든 중요한 지역이었다.
춘천시 6・25참전유공자 기념탑은 대한민국6·25참전유공자회 춘천시지회 보조금 지원사업으로, 총사업비 6억6100만원(국비 1억9800만원, 지방비 4억5200만원, 자부담 1100만원)이 투입됐다.
높이 12m의 기념탑은 춘천대첩에서 북한군의 진격을 막는 전투에 배치되었던 M3 105mm 경곡사포의 포신을 모티브로 제작됐으며, 기념탑 아래 등에는 국군과 함께 국군을 도와 춘천대첩에 참여한 경찰, 민간인, 학생의 모습을 동상으로 표현하며 민·관·군의 헌신을 기릴 수 있도록 했다.
또한, 기념탑 뒤쪽 좌·우 메모리얼 벽면에는 춘천 출신 6·25참전유공자 3,286명의 이름을 각인하고, 건립 취지문과 춘천대첩 전개 과정, 그리고 민・관・군의 활약상을 소개하고 있다.
춘천시 6.25참전유공자 기념탑 사진 및 조감도. 사진=국가보훈부 제공
wangjylee@fnnews.com 이종윤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