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대선 국면 합종연횡 '勢 결집' 본격화…'중도층 잡기' 관건 [윤 대통령 파면]

경선체제 전환, 60일 레이스 돌입
30% 중도 민심이 차기 대권 갈라
여, 판세 뒤집을 모멘텀 찾기 부심
야, 탄핵 여세 몰아 정권교체 의지

대선 국면 합종연횡 '勢 결집' 본격화…'중도층 잡기' 관건 [윤 대통령 파면]
헌재 탄핵 인용 순간… '환호''오열' 희비 갈린 광장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파면 선고를 내리자 탄핵 찬성·반대 집회에 나온 참가자들의 반응도 크게 엇갈렸다. 이날 서울 종로구 안국동 일대에서 진행된 탄핵 찬성집회에 참가한 시민들이 크게 환호하고 있다.
대선 국면 합종연횡 '勢 결집' 본격화…'중도층 잡기' 관건 [윤 대통령 파면]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서 탄핵 반대집회 참가자들이 눈물을 흘리며 울먹이는 모습. 사진=박범준 서동일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4일 탄핵 인용으로 정치권은 사실상 차기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한 60일간의 대선 레이스에 돌입했다. 정부와 중앙선관위원회는 조율을 거쳐 오는 6월 3일 차기 대선을 치르는 방안을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치권은 저마다의 셈법으로 대권을 거머쥐기 위한 전략 가동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야권은 탄핵 여세를 몰아 정권교체를 이뤄내겠다는 의지를 확고히 하는 한편, 여권은 반전 모멘텀 찾기에 부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헌법재판관 전원 일치'라는 결과지를 받아든 더불어민주당으로선 들뜬 분위기를 뒤로하고 정권교체라는 제1의 목표를 향해 당력을 집중하는 모습이다. 가장 유력한 대권주자인 이재명 대표가 조만간 대표직에서 사퇴하고 당내 경선 도전을 선언할 것으로 예상된다.

민주당 당헌에 따르면 대선에 출마하려는 당 대표의 사퇴시한을 '대통령 선거일 전 1년까지'로 규정하고 있으나, 특별하고 상당한 사유가 있을 때는 당무위 의결로 시한을 달리할 수 있어 해당 규정은 적용되지 않는다. 외형상 경선을 치른다는 원칙 아래 짧은 선거기간을 감안해 시도별 경선지역을 통합, 3~4회로 경선일정을 압축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이 대표는 조기대선 관련 언급은 자제하면서 민생을 강조하고 있다. 이 대표는 이날 의총 전 "지금 제일 중요한 과제는 신속하게 나라를 안정시키고 우리 국민들께서 편안하게 생업에 종사할 수 있도록 경제나 민생을 안정시키는 것이 지금 우리가 해야 될 제일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대표의 대세론에도 각종 사법리스크는 대권 가도에 가장 큰 변수로 꼽힌다. 최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에서 무죄를 받기는 했지만 다른 재판들도 진행되고 있어 결과는 장담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민주당으로선 조기대선이 치러지면서 대선에 승리하더라도 대통령직 인수위원회도 꾸리지 못하고 바로 국정에 임해야 하는 상황을 맞게 됐다. 대선 기간 중도층을 공략한 상속세 개편, 상법개정안, 영세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지원, 전 국민 소비쿠폰 지급 등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일단 자세를 낮추는 모양새다. 당장 윤 전 대통령 파면에 실망한 강성 지지층을 끌어안아야 하는 과제가 눈앞에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역시 조만간 경선체제 가동을 위한 당 선거관리위원회를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

확실히 눈에 띄는 1강(이재명 대표)을 보유한 야권과 달리 불리한 여건에서 여권 내 잠룡들은 넘쳐난다.
거론되는 예비주자만 해도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 오세훈 서울시장, 홍준표 대구시장, 한동훈 전 대표, 유승민 전 의원,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 나경원 의원 등이 있다. 치열한 경선 과정에서 전통적 지지층을 비롯해 중도층 외연 확장을 동시에 정조준한 정책 및 이념상 선명성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탄핵 반대에 집중해온 탓에 본선 승리의 '필요·충분조건'인 중도층 외연 확장이 쉽지 않아 본선에서 고전이 예상된다.

syj@fnnews.com 서영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