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

尹 전 대통령 탄핵 후 첫 집회, 지하철 등 관리 강화

尹 전 대통령 탄핵 후 첫 집회, 지하철 등 관리 강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일인지난 4일 서울 도심에서 탄핵 찬반 집회가 열렸다. 사진은 이날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에서 열린 찬성집회(왼쪽)과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 인근에서 열린 반대 집회. 2025.4.4/뉴스1 ⓒ News1 김성진 기자,이승배 기자 /사진=뉴스1

[파이낸셜뉴스] 서울시는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이 결정된 다음날인 5일까지 집회 관련 시민 안전을 집중 관리한다. 이날 서울 광화문과 시청역 인근에는 대규모 집회가 예고돼 있다.

5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자치구, 소방·경찰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2400여 명의 현장 대응 인력을 안국역·광화문역·시청역·한강진역·여의도역 등 주요 지하철역과 인파 밀집지역에 투입한다.

시 재난안전상황실과 연결된 교통·방범용 폐쇄회로(CC)TV를 활용해 주요 집회 장소에 대한 인파 밀집도를 모니터링하고, 유관기관에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등 협력체계를 가동해 사고를 예방한다. 재난안전현장상황실(재난버스)도 현장에 배치해 재난 상황에 대한 대비·대응 태세를 높인다.

지하철 역사 안전 관리도 강화된다. 이날까지 주요 24개 역사에는 하루 약 415명의 안전관리 인력을 배치해 승강장·개찰구 질서 안내, 출입구 안내를 지원한다. 혼잡한 동선은 이동형 안전펜스와 임시 유도선을 이용해 분리한다.

서울교통공사에 따르면 1호선 종각역, 1·2호선 시청역, 1·3·5호선 종로3가역, 2호선 을지로입구역, 3호선 경복궁역, 5호선 광화문·여의도·여의나루역, 6호선 이태원·버티고개역 등 14개 역은 상황에 따라 무정차 통과가 시행될 수 있다.

필요시 경찰 지원으로 출입구 차단도 병행될 예정이다. 탄핵 선고 당일이었던 전날(4일)에는 헌법재판소 인근 3호선 안국역, 대통령 관저 인근 6호선 한강진역이 한 때 무정차 통과하고, 출입구가 폐쇄됐었다.

시내버스는 경찰의 교통 통제에 따라 임시 우회 운행에 협조한다. 광화문 교차로, 세종대로 사거리, 안국역, 여의대로, 한남동 등 주요 집회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의 무정차 또는 임시 우회가 있을 수 있다. 이에 시는 정류소 버스정보안내단말기(BIT), 도로전광표지(VMS), 토피스 누리집(http://topis.seoul.go.kr/), 120다산콜 등을 통해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동형 화장실 5개 동도 주요 집회 장소에 설치된다. 개방화장실과 이동형 화장실의 위치 정보는 '스마트서울맵'과 민간지도(네이버·카카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하철 역사에도 주변 화장실 안내도를 부착해 알린다.

안국·세종사거리·광화문·여의대로·한남대로 주변 따릉이 대여소 71개소의 이용은 이날까지 전면 중지된다.

시는 다수의 환자 발생에 대비해 안국·청계광장·한남동·여의대로에 각 1개소씩 총 4개의 현장진료소를 설치하고, 의사를 포함한 의료진과 구급차를 배치해 응급상황에 대비한다.
또 25개 자치구와 관계기관 비상연락체계(핫라인)를 통해 신속한 응급의료 대처가 가능하게 할 계획이다.

소방재난본부와 관할 소방서에서는 소방력 배치 및 지원 현황, 구조·구급 출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각종 구조·구급 상황 등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한다. 주요 집회 장소 4개 지역에는 펌뷸런스·구급차 등 약 136대의 소방차량과 소방대원 약 712명을 현장에 배치한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