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과학 >

고혈압 환자 입원기간 급감..."의료기관별 차이는 여전"

"응급상황 빼면 고혈압 입원은 애초에 부적절"
하위 의료기관 방문시 입원 비중이 크게 올라

고혈압 환자 입원기간 급감..."의료기관별 차이는 여전"
한 병원에서 의사가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고 있다. 뉴시스

[파이낸셜뉴스] 지난 10년 동안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이 80% 이상 대폭 줄고, 폐렴 환자도 30% 가까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은 부설 정책연구기관인 건강보험연구원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고혈압과 폐렴으로 입원한 환자들의 입원 기간 변화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지난 10년간 고혈압 환자의 평균 입원 기간은 38.1일에서 7.0일로 81.6% 감소했다. 폐렴 환자의 경우도 16.1일에서 11.7일로 27.3% 줄었다.

연구진은 "응급상황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고혈압을 주된 원인으로 입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입원 기간 차이를 의료기관별로 분석한 결과 폐렴 환자의 경우 의료기관 간 차이로 발생하는 비중이 2010년 21.0%에서 2019년 9.6%로 줄어든 반면 고혈압 환자는 25.7%에서 31.3%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병원에 따라 입원 기간이 달라지는 정도를 의미한다. 고혈압 환자의 경우 의료기관에 따른 차이가 커졌다.

2019년 기준 의료기관을 종합병원급 이상(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과 병원급 이하(병원, 의원)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고혈압의 경우 종합병원급 이상에서는 19.6%, 병원급 이하에서는 51.8%로 차이가 컸다.

폐렴의 경우 종합병원급 이상에서는 6.5%, 병원급 이하에서는 26.0%로 나타났다.

연구진은 "병원급 이하에서는 입원 치료의 비효율성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고혈압과 폐렴의 입원 기간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적정 진료에 대한 임상적 기준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vrdw88@fnnews.com 강중모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