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금융교육 활성화 세미나’
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열린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금융교육 활성화 세미나’에서 이석주 금융감독원 금융교육국 국장, 김성욱 금융감독원 부원장보, 강형구 한양대학교 교수, 김경연 금융감독원 재무상담사, 김미혜 서민금융진흥원 부장, 김민기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 김자봉 금융연구원 박사, 이상건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장, 이상훈 전국대학생투자동아리연합(UIC) 회장, 주소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수, 한재영 금융투자교육원장(왼쪽 첫번째부터)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금감원 제공
[파이낸셜뉴스] 이른바 ‘영앤리치(Young & Rich)’ 등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서는 투자형 상품에 대한 정책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는 조언이 나왔다. 현재 은행권의 청년도약계좌를 확장해 자본시장에서도 자산을 축적할 수 있는 투자형 상품을 도입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자본시장연구원 김민기 연구위원과 미래에셋투자와연금센터 이상건 전무는 8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 불스홀에서 열린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금융교육 활성화 세미나’에서 “청년층 자산형성 지원을 위해 저축형 중심의 지원정책 뿐 아니라 투자형 상품 지원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금융감독원과 전국투자자교육협의회 공동으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적극적인 자산형성이 중요한 청년기의 안정적 자산운용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과 금융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교육자금 마련, 결혼과 출산 준비 등 청년층의 생애주기에 따른 재무의사결정을 위한 금융지식과 자산관리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금감원은 청년 맞춤형 1:1 재무상담과 실용적인 금융지식을 전달하는 특강을 통해 청년층의 재무의사결정을 지원한다”며 “e-금융교육센터와 같은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금융교육도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장도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로 안정적인 자산관리를 위한 금융투자교육이 필수가 됐음을 강조했다.
이에 이화여대 주소현 교수와 한양대 강형구 교수는 청년층의 특성을 고려한 재무·금융교육을 위해 자산형성 지원상품과 연계한 교육, 인공지능(AI) 기반 재무상담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금감원 등의 재무상담 결과 개인별 재무목표와 상황을 고려한 상담이 청년층의 안정적 금융생활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대학생투자동아리연합회 이상훈 회장은 “소셜미디어(SNS) 등 청년층이 선호하는 방식을 활용한 실용 금융교육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elikim@fnnews.com 김미희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