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

트럼프 관세, 돌고 돌아 결국 FTA 재개정?..차기정부에 공 넘긴다

트럼프 관세, 돌고 돌아 결국 FTA 재개정?..차기정부에 공 넘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 시간) 백악관 경내 로즈가든에서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라는 행사를 열고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다. 한국에 대해서는 25% 상호관세를 산정했다. 사진=뉴시스

[파이낸셜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우리나라에 부과한 25% 상호관세가 오는 9일부터 발효된다. 우리 정부는 여러 협상카드들을 검토하며 미 측과 협의하고 있지만, 결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개정 문제를 맞닥뜨릴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8일 정부에 따르면 정인교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은 미국을 방문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USTR) 대표 등을 면담해 관세 협의에 나선다.

USTR은 미 상무부와 함께 관세 정책을 주도하고 있는데, 최근 행정부에 제출한 보고서에서 기존 무역협정들의 개선을 건의해 주목을 끌고 있다. 또 지난 1일 공개한 무역장벽보고서에는 한국과 관련해 농산물 시장 접근과 서비스, 약가 등 분야 개선 필요성을 주장했다.

거기다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은 현지언론을 통해 관세 협상과 관련해 관세율보다 비관세장벽 완화가 중요하다는 입장을 폈다. 46% 상호관세를 맞은 베트남이 ‘제로 관세’를 제안한 것과 관련한 질문에 나온 답변이다.

백악관과 USTR 모두 지적한 비관세장벽을 허무는 건 결국 무역협정 문제로 이어진다. 학계와 관가에서 당장은 아니겠지만 결국 한미 FTA 재개정 요구를 받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이다.

강인수 숙명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트럼프 정부는 현재 현행법을 근거 삼아 안보상 사유를 내세워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며 “행정명령만으로 FTA를 사실상 무력화하고 있는데, 구태여 한미 협상과 미 의회 동의까지 필요한 FTA 재개정을 당장 요구할 이유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도 “다만 나중에 관세전쟁이 어느 정도 마무리되고 난 후에는 한미 FTA를 통해 비관세장벽을 완화시켜 (농축산물 등) 시장을 추가 개방하라는 요구를 내놓을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FTA 재개정은 한미 협상도 지난한 작업이지만, 무엇보다 국회의 동의를 구해야만 한다. 미 측과 국회 모두와 협의를 주도하기 위해선 대통령의 결단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FTA를 포함한 비관세장벽 협상 문제는 이번 조기대선을 거쳐 들어선 새 정부에 맡길 수밖에 없다.

정부도 이런 인식에서 관세 대응과 관련해 FTA 부분은 말을 아끼고 있다. 일단 한미 FTA의 이점을 강조해 관세 협상의 카드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미국의 한국에 대한 수출이 늘고 우리 기업의 대미투자가 확대된 성과를 부각하겠다는 것이다.

uknow@fnnews.com 김윤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