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그룹이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상호관세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총 10조2000억원 규모의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우리금융은 현재 가동하고 있는 2조9000억원 규모의 수출·협력기업 대상 금융 지원에 각종 추가 프로그램을 마련했다고 8일 밝혔다.
우리금융은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로 한국기업의 수출경쟁력 약화가 우려되는 시점에서 은행을 중심으로 총력 지원에 나서기로 했다.
먼저 기존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과 연계해 수출기업 대상 우대 보증서 지원으로 반도체·자동차 등 피해 기업 협력사 대상 상생대출을 강화한다. 총 기존 2조3000억원 규모다.
무역보험공사 보중서 담보대출을 통해서도 2700억원을 지원한다. 수출 대기업과 중견기업 납품 협력사 대상 운전자금을 신규 지원하는 것으로 중소기업 최대 50억원, 중견기업 최대 100억원 보증을 지원한다. 일반업종의 경우 금리도 2% 우대해주는데 반도체와 자동차 등 상호관세 부과로 타격이 예상되는 업종에는 최대 3% 우대해준다.
우리금융은 고환율에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폐업 위기에 몰린 소상공인 금융지원 강화를 위해 2000억원을 마련했다. 지역 보증재단과 연계한 소상공인 특화보증서 대출을 지원한다. 소상공인 특화 지원에는 연간 700억원을 마련했다. 저신용·저소득 차주 대상 맞춤형 채무조정을 지원하는 것이다.
새롭게 가동될 금융 지원 프로그램은 총 7조3000억원 규모다. 수출기업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5000억원을 지원하다. 반도체·자동차 업종을 지원하기 위해 신·기보와 연계해 특별출연 추가 실시하는 것이다.
상호관세 부과로 타격을 입은 기업에는 경영안정 특별 지원을 1000억원 규모로 실시한다. 중소기업의 유동성 지원 형태인데 최대 5억원 여신지원과 무내입 기간연장 지원, 금리 및 수수료 우대가 이뤄진다. 특히 수출환어음 부도처리기간을 최대 90일 연장해주기로 했다.
수출·협력기업의 금융 비용 경감에는 6조7000억원이 투입된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구분 없이 상호관세 피해 기업을 대상으로 금리를 낮춘다. 5%를 초과한 금리에 대해서는 인하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외환수수료 우대도 지원한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우리은행을 중심으로 전국 기업금융전담역(RM)들이 수출입 기업들에 대한 현장점검과 자금수요 등 구체적인 애로사항 파악에 나섰다"고 말했다.
mj@fnnews.com 박문수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