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 불안 때마다 가짜뉴스 확산
가짜뉴스 많을수록 사회 혼란·불안 초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경찰 사칭 가짜뉴스. 카카오톡 캡처
[파이낸셜뉴스]
"'윤석열 사망'이라는 CNN 기사 절대 열지 마세요. 메일 열어보는 순간 휴대폰이 스미싱됩니다."
주부 안모씨(56)는 최근 이런 내용의 메시지를 보고 깜짝 놀라 가족들에게 곧바로 전달했다. 기사를 열어보는 순간 휴대전화에 악성코드가 설치된다(스미싱)는 경고가 담긴 메시지였다. 안씨는 "단체 대화방에서 돌던 메시지인데 혹시나 가족들이 잘못 눌러 피해를 당할까봐 걱정된다"고 말했다.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이후 혼란한 분위기를 이용한 가짜뉴스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관련 기사를 보면 위험하다는 주장부터 원래 선고 결과가 '기각'이었지만 갑자기 바뀌었다는 식의 허위 정보까지 내용도 다양하다. 탄핵이라는 정치·사회적 혼란 속 공적 판단에 대한 불신이 맞물리며 가짜뉴스가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9일 파이낸셜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윤 전 대통령 파면이 선고된 지난 4일 이후 카카오톡, 트위터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중심으로 경찰을 출처로 하는 가짜 메시지가 퍼지고 있다. "'우려되는 대한민국'이라는 제목의 이메일 유포. 악성 코드가 담긴 메일로 열어보는 순간 휴대폰이 스미싱됩니다"라는 내용이다. 경기남부경찰청 소속 경찰관 실명이 메시지 하단에 적혀있다.
하지만 이는 경찰관을 사칭한 메시지다. 지난 2016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정국부터 떠돌던 가짜뉴스가 변형된 형태다. '박근혜', '최순실 사건' 등 키워드를 담아 퍼졌던 메시지는 '윤석열', '탄핵'을 주제로 재등장했다. 지난해 12월 계엄령 선포 이후에는 '내란', 탄핵 이후에는 '탄핵 비관' 등으로 핵심 단어만 바꿔가며 확산됐다.
전문가들은 가짜뉴스가 반복적으로 유통되는 배경으로 정치·사회적 불안을 꼽았다. 사회가 혼란하고 신뢰지수가 낮을수록 가짜뉴스가 확산되며 파급력이 커진다는 설명이다.
허창덕 영남대 사회학과 교수는 "사회가 혼란스럽고 신뢰지수가 낮을수록 가짜뉴스는 더욱 확산되고 증폭된다"며 "가짜뉴스가 많다는 것은 사회 질서에 대한 불신, 즉 서로를 믿지 못하는 분위기를 반영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탄핵선고 결과와 관련된 각종 가짜뉴스도 온라인상에서 확산되고 있다. '특정 정치인이 헌법재판관들에게 돈을 건네 탄핵 인용을 이끌어냈다'는 거짓뉴스가 유포되는가 하면, '인용 5명, 기각 3명으로 원래는 기각 결정이었다'는 주장과 함께 '탄핵심판 평의 결과'라는 제목의 문서 사진도 함께 돌고 있다.
하지만 모두 출처가 불분명한 가짜뉴스인 것으로 파악됐다. 헌재 관계자는 "해당 문서와 같은 자료는 애초에 만들지 않는다"며 "평의 결과를 문서로 남기지도 않는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이런 가짜뉴스가 시민들의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판단을 흐리게 하고 사회 혼란과 불신을 부추긴다는 점이다.
전문가들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빠르게 확산되는 점을 고려해 가짜뉴스를 생산·유포하는 행위를 강력 처벌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설동훈 전북대 사회학과 교수는 "가짜뉴스가 계속 퍼질 경우 사회 혼란과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며 "미디어 리터러시(문해력) 훈련이 되지 않은 사람들은 가짜뉴스에 쉽게 속고, 결국 가짜뉴스 생산자의 '먹잇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짜뉴스로 수익을 얻는 이들은 사회 혼란을 야기하는 주범으로 이들을 철저히 단속해 생산과 유포 자체를 차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welcome@fnnews.com 장유하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