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

삼성KODEX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하락 방어력’ 입증

美 상호관세 이슈 등 변동 장세 속 S&P500 지수 대비 손실 완충 효과 두드러져
S&P500 13.6% 하락하는 동안 3.21%p 수익률 완충 버퍼 효과 작동

삼성KODEX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 ‘하락 방어력’ 입증
삼성자산운용 제공.

[파이낸셜뉴스] 삼성자산운용은 지난달 25일 출시한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가 하락장에서 기존 KODEX 미국S&P500 ETF 대비 하락 리스크 완충 효과를 나타냈다고 10일 밝혔다.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행정명령 발표 이후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이 상품이 상장한 3월 25일부터 4월 9일까지 미국S&P500 지수가 약 13.6%가량 하락한 가운데, 미국S&P500 지수를 추종하는 관련 ETF들의 수익률도 동반 하락했다. 특히, 미국S&P500지수를 추종하며 환노출형인 KODEX 미국S&P500이 -12.7%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는 -8.7%를 기록하며 하락 리스크에서 완충 효과를 입증했다.(4월 9일 기준)
이 ETF는 미국 S&P500 지수에 투자하면서 하락장에서는 옵션을 활용해 손실을 약 10%까지 완충하고 상승장에서는 약 16.4% 수준까지의 수익을 목표로 하는 상품이다. 지난 3월 25일 상장했으며 아시아 최초의 버퍼형 ETF다.

KODEX 미국S&P500버퍼3월액티브는 S&P500지수 5650을 기준으로 -10.2%수준인 5075가 버퍼 하단이며, 수익률 상단을 의미하는 캡수준은 16.4%인 6575다. 즉, 2026년3월말에 S&P500이 5650~5075범위에 있으면 상장일 기준으로 수익률 0%, 5650~6575 사이에 있으면 5650대비 상승률을 최대 16.4%까지 그대로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운용된다. S&P500이 5650 이하로 하락한다면 10.2%를 제외한 손실률로, 6575이상 상승한다면 수익률 캡인 16.4%가량으로 확정되도록 설계됐다.

다만, 버퍼형 ETF가 추구하는 수익 구조가 1년 단위로 설정돼 있기는 하지만 주식처럼 거래되는 ETF 특성상 언제든 매매할 수 있고, 옵션의 만기가 1년인 만큼 옵션의 가치가 시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투자자의 매매 시기 및 매수/매도 가격에 따라 수익 구조가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 삼성자산운용은 KODEX 홈페이지에서 버퍼형 ETF의 누적 수익 추이, 종료일까지 보유 시 추구 가능한 ETF 잔여 캡, ETF 잔여 버퍼 등의 중요한 지표들을 매일 안내하고 있다.

삼성자산운용 김선화 ETF운용2팀장은 “미국 상호관세 부과 이슈 등 국내외 정치, 경제의 불확실성 고조로 자산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손실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방어형 ETF에 대한 투자자들의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특히 버퍼형 ETF가 실제로 미국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여타 ETF 대비 수익률 하락 완충효과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간 종료일이 다가올수록 추구하는 수익구조에 가까워지면서 하락 완충효과는 더 드러날 것으로 보여 하락 리스크를 대비하려는 보수적인 투자자 분들에게 적합한 상품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한편 2016년에 미국 시장에서 처음 등장한 버퍼형 ETF는 3월말 현재 14개 운용사가 참여해 370여개 상품, 93조원 순자산으로 성장했다.

kakim@fnnews.com 김경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