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

中, 경기침체에도 후퇴 없다…노림수는 美유권자 흔들기[관세전쟁]

3번째 보복관세 대응은 시간문제
농수산물 수입중단 카드 등 거론
미국 내년 하반기 중간선거 앞둬
물가 계속 오르면 트럼프도 부담

中, 경기침체에도 후퇴 없다…노림수는 美유권자 흔들기[관세전쟁]
중국은 10일 예고대로 84% '맞불 관세'를 발효 시행함으로써 다시 한번 미국과의 관세전쟁에서 물러서지 않겠다는 강한 의지를 대내외에 밝혔다. 경기침체 속 물가가 오르는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맞대응을 계속해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향후 대미 보복 후속조치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당장 중국에만 125% 관세 부과를 결정한 것에 대한 대미 대응조치가 관심사이다. 이날 새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의 대미 보복관세를 문제 삼아 중국에 대해서만 징벌적인 관세 부과를 추가로 발표했다.

■대중 125% 관세 부과에 추가 대응조치 초읽기

중국은 이 같은 트럼프의 새벽 발표에 대응 수위를 조정하고 있다. 확실한 것은 중국이 이 같은 조치에 물러설 가능성은 거의 제로(0)라는 점이다. 지금까지 중국의 2차례 조치는 미국의 대중 관세와 같은 비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맞대응 형식이었다. 이 점에서 같은 비율의 관세(125%)를 미국 상품에 부과하는 3번째 보복조치를 내놓을 것은 시간문제로 보인다.

다만 어떤 대응방안과 보복수단 등을 선택할지가 관전 포인트이다. 미국에 대해 중국은 같은 액수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눈에는 눈' '이에는 이'라는 맞대응 방식을 취해왔다. 이날 낮 12시1분(현지시간)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84%의 추가 관세 부과를 시작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였다.

중미 두 나라의 관세전쟁은 양보 없는 난타전으로 빠져들면서 출혈과 손실도 더 커지게 됐다. 중국은 수입상품의 가격 인상 등 경기침체 속 물가상승 위험에 직면하게 됐다. 대두, 육류 등 생활에 필수적인 미국산 농축산물에 대한 높은 관세 부과 결정으로 수입물가가 치솟아 경제가 더 압박을 받게 됐다. 2007년 이후 달러당 최약세를 찍은 위안화도 수입물가 상승 속도를 부채질하고 있다. 전날 달러당 7.5위안이었던 위안화는 이날 7.35를 기록했다.

■미국산 농축산물 등 보복 대응

고물가에 경제침체 부담 속에서도 중국이 강경 대응으로 입장을 정한 것은 출혈경쟁에서 승산이 있다고 보고 있는 탓이다. 국내적으로 대대적 경기부양책으로 대응하면서, 미국산 농축산물에 고관세 부과 등 다양한 보복 대응으로 미국 유권자들을 흔들 수 있다는 계산이다. 내년 하반기 중간선거를 앞둔 미국이 관세정책으로 인한 물가상승 및 경기침체 부담 속에서 일관된 강경정책을 펴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 1기 이후 준비해 온 다양한 대미 보복조치들도 중국의 강경 대응을 뒷받침한다. 지난 1월 트럼프 2기 들어 관세전쟁 이후 미국 기업 약 60곳을 제재했던 중국은 9일 방산업체를 중심으로 미국 기업 18곳을 제재대상에 추가했다.

희토류 수출제한도 중국의 보복수단 중 하나다. 전 세계 희토류의 90%를 생산하는 중국은 2023년 이후 5차례에 걸쳐 광물 수출통제 조치를 했다. 방위산업 등 서방 기업들의 첨단산업에 광범위한 타격을 미치는 대응을 준비해왔다.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가 10일 사설에서 "미국의 경제적 괴롭힘 행위에 대해 강력한 대응조치를 계속 취할 것"이라는 반응도 흔들리지 않는 중국의 대응 입장을 보여준다. 신화통신 소셜미디어 계정 뉴탄친이 지난 8일 밝힌 미국산 농축산물 수입 중단, 미국 기업의 지식재산권 조사 등 '맞대응 6대 조치'도 구체적인 대응방안 가운데 일부이다.


■경기부양책으로 관세전쟁 충격 방지

특히 중국 당국은 국내 경제의 충격을 줄이기 위한 추가 경기부양책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리창 총리는 격화되는 관세전쟁으로 외부 충격이 경제에 압력을 주고 있다고 진단하면서 추가 경기부양책을 전면에 띄웠다.

10일 CCTV에 따르면 리 총리는 전날 경제 좌담회를 주재하면서 내수 확대를 장기전략으로 삼아 기업 활력을 자극하고, 자금조달의 어려움을 해소해 더 나은 발전환경을 제공하겠다고 밝혀 경기부양 의사를 확실히 했다.

june@fnnews.com 이석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