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국민의힘 전 대표 대선 행보 본격화, 산업 현장 먼저 찾아
미국 상호 관세는 기업이 아닌 정치가 해결해야 할 문제
"지역화폐 뿌리겠다는 엉터리 경제학 자동차 산업 못 지켜"
본격 대선 후보 행보에 나선 한동훈 전 대표가 11일 오전 울산 남구 명화공업 울산공장을 방문, 회사 관계자들과 자동차 부품 생산 현장을 둘러보면서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국내 자동차 산업계가 처한 상황을 듣고 있다. 사진=최수상 기자
【파이낸셜뉴스 울산=최수상 기자】 전날 공식적인 대권 행보를 시작한 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가 첫 방문지로 울산을 선택했다.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으로 위기에 봉착한 국내 산업 현장을 가장 먼저 챙기겠다는 의미다.
11일 오전 11시 울산 남구 명화공업 울산공장에 도착한 한 전 대표는 "최근 트럼프 관세 상황으로 어려움에 직면한 자동차 부품 업계 현장의 이야기를 듣고, 또 우리의 카드인 조선업에 대해서도 상황을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우리가 정치가 어떤 일을 해야 되는지를 대화하고 보여드리기 위해서다"라며 울산 선택 이유를 설명했다.
한 전 대표의 울산 방문에 서범수 의원, 한지아 의원, 진종오 의원, 윤희석 국민의힘 대변인이 동행했다.
한 전 대표는 곧이어 명화공업 황승필 대표이사와 회사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한 대표는 현재 90일 동안 적용이 유예된 미국 상호 관세율 25%가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에 미칠 영향을 자세히 물었다.
한 전 대표는 "상호 관세 25%는 90일간 유예해 준다고 했지만 그래도 품목별 관세 25%는 제대로 적용되고 있다"라며 "현대차 같은 완성차 업계에서는 미국으로 간다는 이런 얘기도 할 수 있지만 우리 자동차 부품업계는 정말 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걱정하실 것으로 안다"라고 말했다.
이어 "지금 이 상황, 이 문제는 단지 기업이 풀 문제가 아니라 정치가 나서서 풀어야 할 문제다"라며 "정치가 반드시 제대로 역할을 해야 되는 이유가 이것이라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그냥 돈을 나눠주겠다, 지역화폐 뿌리겠다 이런 식의 엉터리 경제학으로는 자동차 산업 같은 일자리를 제대로 지켜낼 수가 없다"라며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강점을 지켜내는 정치를 반드시 해내겠다는 약속 드린다"라고 말했다.
한동훈 전 대표 명화공업 울산공장 방문. 사진=최수상 기자
한동훈 전 대표가 11일 울산 남구 명화공업 울산공장을 방문, 회사 관계자들로부터 미국 상호 관세율 25% 적용과 관련해 자동차 부품업계가 처한 상황을 청취하고 있다. 사진=최수상 기자
답변에 나선 황승필 대표이사는 "그동안에 가격 경쟁력이 있어서 북미 쪽 수출을 많이 했는데 관세율이 25% 올라가게 되면 경쟁력이 없어진다"라며 "그렇게 되면 미국 현지도 저희 회사가 아닌 현지 업체들로 소싱을 바꿀 것이기 때문에 회사 매출에 바로 타격이 갈 수 있다"라고 상황을 설명했다.
황 대표이사는 여기에다 환율 급등에 따른 수입 자잿값 상승로 제조 원가가까지 높아져 점차 가격 경쟁력을 잃어갈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황 대표이사는 "상여금 등이 통상임금화 되는 것도 중소협력사들이 매우 걱정하고 있다"라며 '"관세율은 전 세계가 겪고 있는 문제이기 때문에 관세율보다는 통상임금 문제에 더 걱정이 앞선다"라고도 말했다.
한 전 대표는 이후 명화산업 구내식당에서 점심을 함께하면서 직원들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는 등으로 오전 일정을 소화했다.
오후에는 현대중공업과 울산지역 조선업 협력업체들과 간담회를 가질 예정이며, 새울원자력본부 방문을 끝으로 부산으로 향한다.
한 대표가 전날 대선 출마 선언 후 1박 2일 일정으로 가정 먼저 부산·울산(PK)을 찾은 이유는 우리나라 경제를 지탱하는 자동차·조선·에너지 업계를 잇달아 만나면서 '경제 사령탑'으로서의 비전을 부각하겠다는 게 한 전 대표 측의 설명이었다.
한 전 대표는 전날 출마 선언식에서도 "'성장하는 중산층의 시대'를 열겠다"며 '국민 소득 4만 달러·중산층 70% 시대' 구상을 제시한 바 있다.
계엄·탄핵 국면에서 당내 공격을 받았던 한 전 대표가 자연스럽게 영남권의 보수성향 지지자들과 접촉면을 넓히는 효과도 기대하는 것으로 보인다.
ulsan@fnnews.com 최수상 기자
이 시간 핫클릭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